주돈이가 들려주는 태극 이야기 철학자가 들려주는 철학 이야기 58
이명수 지음 / 자음과모음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음양오행이 교차하는 가운데 가장 우수한 것을 얻어서 된 것이 바로 인간이다.>
'태극'이 움직여 '음양'을 낳고 음양이 순환하여 오행을 낳으며 우주 만물은 끊임없이 순환한다! 인간은 인극을 다하여, 자연적 본성에 따르면 성인이 된다!

처음 책 표지를 보았을때는 왠지 모르게 거부감이 생겼다.
철학이라는 분야가 평범한 사람들에게는 그다지 와닿지 않는 점도 있었고 태극무늬와 오행에 대한 그림이 그려져 있는 표지를 보자니 철학이 가져다주는 난해함과 어려움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사실 부끄럽게도 처음 "주돈이가 들려주는 태극 이야기"라는 제목을 보았을땐 주돈이가 누군지 전혀 몰랐었다. 그저 책 속의 주인공이겠거니 했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쥐구멍에라도 숨어들고 싶다. 하지만 모르는것은 죄가 아니고 창피하다고 생각해선 안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기에 누구보다 열심히 책에 집중할 수 있었다.

책에서는 주인공 수철이가 친구 민동이에게 있는 필통이 갖고 싶어서 집에 있는 아버지의 우표와 바꾸게 되는 사건을 시작으로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본래 수철이는 철학에 대해서 별로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았는데 자신이 민동이에게 줬던 우표가 우리나라 최초의 우표라는 사실을 알게 되서 불안한 마음에 아버지에게 이것저것을 귀기울여 듣게 된다. 하지만 주돈이의 태극사상을 하나둘 배워갈수록 그 속에 담겨있는 철학에 흥미를 갖게 되고 자신의 지식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또한 등산을 하거나 아버지의 친구인 정배아저씨네 수해현장으로 달려가서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 불리우는 이유를 조금씩 알아가며 조금씩 성장하고 성숙한 인간으로써 바뀌어 간다.
 
학생층을 대상으로 한 책이라 생각했었지만 어른들이 읽어도 전혀 부족하지 않은 것 같다. '철학'이라는 소재가 특별한점도 그렇지만 150페이지 분량이면서도 알찬 구성인지라 시간 가는줄 모르고 읽게 되니 말이다. 그리고 처음에 몰랐던 주돈이에 대해서도 알게 됬는데 태극사상을 이야기했던 중국 송나라 때의 철학자로 자는 무숙이며 염계선생 으로도 불리웠다고 한다. 무엇보다 태극사상에 대해서 접해볼 수 있었고 그동안 잘 몰랐던 태극기에 담긴 의미라던지 오행과 음양의 조화, 만물의 근원등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정말 뿌듯하다. 특히나 흔하게 써오던 '태극'이라는 말의 뜻이 단순히 크다는 것이 아닌 무한하게 커서 그 끝을 알 수 없다는 것, 즉 무극이라는 점에서 놀라웠고 감탄했다.
 
"사람이 왜 만물의 영장일까?

먹이 사슬의 가장 위에 있어서?

도구를 만들어 모든 것을 정복하니까?

짐승은 하지 못하는 문자를 써서 의사소통하기 때문에?"
 
-외전 141p중에서-

선생님이 말했듯이 위의 것들도 물론 틀린 말은 아니지만 결정적인 이유로 사람에게는 다른 이를 위하는 마음이 있기 때문이란점이  정말이지 공감이 간다. 우리는 자연속에서 살아간다. 작게는 지구고 크게 보면 우주라는 거대한 자연속에서 말이다. 수철이가 말했던 인간도 대우주속에 존재하는 소우주라는 말이 정말이지 마음에 든다. 그렇기에 사람들이 자신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고 인간으로 태어났다는 사실에 감사하고 그에 따른 책임과 의무가 무엇인지 한번쯤은 생각하고 지켜나갔으면 좋겠다.

책을 읽고난 후의 느낌을 말해보자면 철학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읽기에 전혀 부담감이 없었다. 일상에서의 평범한 이야기속에 철학을 조금씩 집어넣고 주인공으로 하여금 스스로 철학에 다가가게 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중간 중간에 화려하진 않지만 정감 있는 그림들로 하여금 수철이의 일상에 조금 더 쉽게 다가갈 수 있었고 말이다. 물론 이야기만으로는 철학에 대한 책치고는 빈약하게 느껴질수 있었는데 친절하게도 중간중간 '철학 돋보기'를 통해서 부족한 부분을 메꿔주었기에 태극과 오행, 음양에 대해서 많이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뒷부분에 있는 논술 활용 노트를 통해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볼 수 있기에 좋았던 것 같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겠지만 '철학'이라는 것 정말 생소하면서도 어렵게만 느껴지는 학문이다. 과학처럼 명쾌한 답이 있는 것도 아니고 수학처럼 정해진 공식이 있는 것도 아니니 말이다. 하지만 철학은 우리가 사는 삶 속 어디에나 존재하는 것 같다. 책에서 그랬듯이 일상에서 벌어지는 사건,사고들을 생각해보면 아마도 수만가지의 철학적 이야기가 쏟아지지 않을까?? 학생시절 철학에 대해서 공부해보고 싶었던 생각을 잠시나마 가졌던 나였기에 이런식으로 철학의 일부를 접할 수 있었다는 것에 감사한다. 더불어서 철학시리즈를 꾸준히 출판해주고 있는 출판사와 작가분들에게 힘내라는 말을 해주고 싶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모지기 2011-06-01 16: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자음과모음 학습도서에 애정이 많은 분을 만나뵙게 되어 영광입니다.
우선 자음과모음 학습도서 아껴 주셔서 감사합니다.
책에 대한 리뷰 감사히 잘 봤습니다.
철학자이야기 동영상 '자모에듀 http://cafe.naver.com/jamoedu'에
업데이트가 되고 있습니다. 오셔서 책과 함께 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자모식구가 되어주세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