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살의 언어 - 삶과 죽음의 사회사, 2024 아우구스트 상 수상작
크리스티안 뤼크 지음, 김아영 옮김 / 북라이프 / 2024년 11월
평점 :
요즘 많이 대두되는 자살에 관한 책, 자살의 언어 읽어봤어요.
사회적 문제라고 여겨지는 자살, 책을 읽어보니 보다 의미적으로 다시 한 번 생각해보고 관점도 다르게, 사람마다의 상황도 다르게 다시 보게되더라구요. 자살 왜 존재하는지, 잘못인지, 연결지어 삶이란 무엇인지 까지 철학적으로 생각해보게되는 책이었어요.
자살의 모국어는 수치심
리즈 고모가 자살했을 때, 리즈 고모는 알코올 의존증이었고 상태가 좋지않았고 불안했어요. 그래서 주변 사람들은 어느정도 예측을 하기도 했구요. 그렇게 유족 측근에게 "왜?" 라는 질문을 하게되고, 사람들은 많이 추측하고, 죄책감을 남겨요. 그렇게 주변 사람들은 다른사람들에게 사인을 말하지않거나 숨기게 되죠. 그래서 자살의 모국어는 수치심이라는 표현을 했나봐요. 우리나라든 어느나라든 자살에 대해서는 곱지않은 시선이 있으니까요.
학생 때 많이 토론의 주제로 거론되는 존엄사, 조력자살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보게되었어요. 안락사, 아직 합법적으로 인정해주는 나라가 없다보니 그 나라를 방문해서 한다고 뉴스를 보긴 했는데 이리 생각해보니 그것또한 그 사람의 선택이니 존중해줘야하는거 같다라는 생각도 드네요.
자식을 떠나보냈다면...
드라마, 영화, 사회적뉴스에서만 보아도 부모보다 빨리 세상을 떠난 자식을 보내는 부모심정은... 참 이루말할 수 없지만 그렇게 또 부모는 죄책감에, 왜 빨리 알아차리지 못했을까? 에 대해 생각하죠. 보자마자 학교폭력, 직장내왕따같이 요즘 증가한 자살원인에 대해서도 스쳐지나가는 것이 마음이 좀 심란했어요. 이건 잘못이 아닌데, 부모님의 잘못이 아닌데...
당신은 아무런 잘못도 하지 않았다.
실제로 자살 유가족들은 심리치료를 받기도하잖아요. 남은 유가족들이 느끼는 죄책감에 대해서도 생각이 많아졌네요.
연예인들이 자살을 많이하던 시기가 종종 오곤 하는데, 이처럼 자살보도가 더 많은 자살로 이어지는 현상, 베르케르효과.
사실 읽는 내내 마음이 좀 무거워졌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적인 마지막 시사점이 좋았어요. 자살의 거꾸로하면 살자라고 하잖아요. 사회에서 수많은 노력과 프로젝트 들을 통해서 자살을 하지않게끔 도움을 주기도 하고, 여기서 우리는 희망을 찾을 수 있어요. 저는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의 심정도, 유가족의 심정도, 자살조력자의 심정도 100퍼센트 이해할 순 없겠지만 적어도 이책을 읽고나니 각자의 상황에 따라 바라봐보자싶더라구요. 블로그 서평을 쓰는데 제목만 자살이 들어가도 당신은 소중한 사람입니다, 포지하지마세요, 자살예방상담전화가 뜨네요. 제가 정답을 내릴 순 없지만 많은 사람들이 조금은 깊게 생각해 보셨으면 하는 주제였어요.
출판사로부터 도사를 제공받아 작성된서평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