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 전의 기도
오노 마사쓰구 지음, 양억관 옮김 / 무소의뿔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4가지의 단편을 엮은, 그러나 큰 줄기로 하나의 이야기를 말하는 책이다.

9년 전의 기도, 바다거북의 밤, 문병, 악의 꽃-

각각의 이야기 속의 주인공은 각각 다르지만, 

큰 줄기 속에 미츠씨와 그의 아들 다이코는 계속 등장한다.


「9년 전의 기도」을 읽으며, 9년 전과 현재의 시간이 오가며 배치된 글의 구성에 처음에는 쉽게 읽다가, 

조금 더 신경을 집중시켜 읽어야 한다는 생각, 그러면서 글에 더 집중할 수 있었다.

조금은 다른 아이를, 찢긴 지렁이로 표현되는 케빈이라는 아이를 혼자서 돌보는 엄마의 이야기.

아이의 존재가 당연 축복이어야 하지만, 찢긴 지렁이로 표현된(추측컨데, 스스로를 닫아버린 아이인듯) 아이는 주인공에게 짐처럼 느껴졌을 것이고, 그런 주인공은 귀향을 하며, 9년 전 밋짱으로 불리던 이와 여행했던 캐나다를 기억해 낸다.

그곳에서 밋짱이 했던 이야기와, 성당에서의 기도- 그리고 다시 현실에서 그녀의 아들 다이코가 아프다는 이야기를 접하게 된다.

다이코를 문병 가기 전, 문섬으로 들어가 그에게 줄 선물을 준비하며 주인공 사나에는 자신이 피하고 싶어하던 자신과, 그리고 찢긴 지렁이로 표현되는 아이, 그 아이에게서 찢긴 지렁이를 떼어내는 것에만 집중하던 모습에서 받아들이는 것을 배우게 된다.

밋짱과 직접적인 만남은 없었으나, 그 섬에서 사나에는 분명 밋짱을 만난 것이다. 


「바다거북의 밤」,「문병」은 같은 시간대에 다른 두 집단의 이야기이다.

어린 시절의 되짚으며 찾아온 할아버지의 집. 그 가는 길에 바다거북을 발견하고, 바다거북을 뒤집어 놓는다.

바다거북이 알을 낳는 것을 보여주었던 할아버지에 대한 기억, 그리고 그 집을 찾아가는 길에서 다이코라는 이름이 등장한다.

그리고 그 일행중 한명인 잇페이다와 다이코가 같은 병, 즉 뇌종양을 앓고 있다는 이야기가 전개된다.

뒤집어진 바다거북의 모습을 통해, 어쩌면 알을 낳고 모래를 덮는 듯한, 어쩌면 바다에서 유영하는 듯한 바다거북의 몸짓을 통해 주인공들은 고통스러운 현재와 만나게 된다. 

자신의 노력이 아니라, 아버지와 형의 지위에 따라 자신의 위치가 정해진 필부인 주인공, 어릴 적 대단해 보이던 이가 실상은 그러하지 않은 모습으로 고향으로 돌아와 약간은 누군가를 걱정할 위치가 아닌, 걱정을 받아야 하는 모습으로 변해 버린 것을 자조적으로 바라보는 주인공의 모습이 그려진다. 여기에서는 다이코라는 이름이 아닌, 도기 라는 이름으로 밋짱과 다이코는 등장하여 맥을 같이 한다. 

도기에게 병문안을 가기 위해, 그리고 바다거북의 밤에 나온 잇페이다의 어머니가 위중해 진 소식에 그 젊은이를 공항으로 데려다 주는 것으로 마무리 된다.


「악의 꽃」에서는 조금은 부족한 듯 보이는 다이코. 그의 병으로 인해 그와 그의 부모들이 비운 동네에서 그들의 부재로 인해 그들이 느끼는 불편, 허전함들에 대해 이야기 한다. 늙은 치요코를 대신해 악의 꽃을 뽑아주고, 성묘를 해주고, 붓꽃을 대신 놓아주는 것을 늘 대신해 준 다이코. 그가 실상 대단한 사람이어서가 아니라, 조금은 부족하지만, 다른 사람들 즐거이 자진해서 돕는 모습. 그러하기에 되려 이웃들에게 그의 부재가 큰 공허가 된 것을 볼 수 있다.


책속의 인물들은 그 누구도 좋은 배경에 완전한 삶을 누리는 이가 없다. 

무언가 부족하고, 빠져있고, 대단해 보였다 하더라도 실상은 그러하지 않고, 삶을 살아가는 순간들이 팍팍하기 그지 없다.

하지만 그러함에도 누군가에게 위로의 말을 하고, 돕는 한 가정을 둘레로 하여 그 부족함들이 서로 엮이며 위로를 전하고 있다.


'나는 어떠한가? 내 삶의 모습은 어떠한가?' 를 되묻게 하는 책이다.



사나에의 가슴에는 아무런 슬픔도 없었다. 그것은 사나에의 등 뒤에 서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