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째 아이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
도리스 레싱 지음, 정덕애 옮김 / 민음사 / 199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가을 이사철을 맞아 전세대란 뉴스가 끊이질 않는데요보통 이사를 앞두고 새 보금자리를 구하러 이 집 저 집 둘러 볼 때 가구배치나 향후 편리한 생활을 위해 디테일하게 따져드는 이면에, 우리 앞에 놓여질 또 다른 삶에 대한 희망으로 가슴 설레이기도 합니다. 더욱이 그것이 넓은 평수와 안락한 날들을 보장하는 듯한 영국의 대저택이라면 말할 것도 없겠지요. 오늘의 책, 도리스 레싱의 <다섯째 아이> 주인공인 해리엇과 데이빗. 이 둘은 파티에서 만나 초고속으로 결혼에 골인했음에도 의외로 보수적인(?) 커플입니다. 결혼 생활에서 무엇보다 그들이 중시했던 것은 분수에도 맞지 않은 비싼 집과 다소 힘겨울 것으로 예상되는 다산 계획이었죠. 집이 크고 보장된 수익이 있으며, 맡아 기를 능력이 충분하다면 누구도 말리지 않겠지만 한국에서 흔히 보는 풍경처럼, 낳게 되는 아이들은 족족 외조모 도로시의 손에 맡겨지게 됩니다.


넷째 아이 폴까지는 그럭저럭 힘겹지만 복닥복닥 사람 사는 재미도 나 보이고, 비록 반대를 무릅쓰고 사들인 저택이지만 친척들의 방문이나 파티 때엔 요긴하게 쓰이는 등 별 트러블 없이 살아가는 듯 보였습니다. 하지만 원치 않던(피임 실수) 다섯째 아이 벤이 해리엇의 뱃속에서 제 존재를 알리기 시작했을 때 부터 분위기는 심상찮게 흘러가죠. 팔삭둥이 벤. 그는 여덟 달 동안 쉼없는 발길질 끝에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게 되는데 아무도 그의 탄생을 축하하지 않고 심지어 부모조차 그를 두려워하고 멀리하려 합니다. 기념일이면 넓은 집에 다들 모여 축제 분위기를 내던 지인과 친척들도 벤의 기이한 행동과 모습에 하나 둘 발길을 끊고 형제들 네명 역시 도무지 적응되지 않는 동생의 폭력과 야만성에 기가 질려 자연히 벤은 가족들 속에서 소외되고 말지요.


아이가 이렇게 문제를 일으키면 부모는 심란할 수 밖에 없습니다. 더구나 해리엇과 데이빗 둘의 성격은 결혼 당시엔 죽이 잘 맞았지만 벤을 기르는 과정에서는 운명론적 세계관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입장이라 의견의 접점을 찾지 못하고 시종 평행선을 그리며 다툼을 일으키곤 하는데요. 결국 감당이 안되어 요양소로 아이를 보내야만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을 때 엄마인 해리엇은 마음 속 진심을 누르고 극구 반대하지만, 그녀의 뜻이 관철되는 건 감옥같은 그 곳에서 아이가 짐승처럼 오랜 기간 취급되고 난 뒤, 그녀의 모성애와 밑바닥에 자리한 죄책감이 일깨워졌을 때 그를 되찾아 오는 과정에서였습니다. 자신에게 쏟아지는 비난의 화살들, 억울했지만 그녀는 기꺼이 총대를 맸습니다.


주목할 만한 것은 벤이 어떤 병명도, 비정상적이란 판단도 내릴 만한 뚜렷한 근거가 없다는 것인데요. 단지 또래에 비해 엄청난 식욕과 힘을 자랑한다는 것, 그리고 유독 사회성이 떨어진다는 점을 봤을 때 이는 차라리 병이라기보다는 완전한 인간으로 진화되지 못한, 과거 어느 원시 시대 조상의 모습을 보는 듯 합니다. 주변과 섞여들려고 딴엔 열심히 노력하지만 '불쌍한 벤'은 배우는 것 자체가 불가능해 보여서 때론 정말 안타까워 보입니다. 다섯째 아이로 인해 부모는 나머지 넷에 신경을 못 써 줘 늘 미안하기만 할 뿐이죠. '괴물'은 자신이 특별하다는 걸, 모두와 다른 존재라는 걸 알기나 할까. 해리엇과 데이빗이 갖는 물음의 방향은 어느 새 근원적이고 도덕적인 관념을 향해갑니다.


해리엇은 계속 주장했다. "난 그런 말을 누가 했으면 하고 원하는 거예요. 난 그런 사실이 인정되기를 원해요. 아무도 그렇게 말한 적이 없다는 사실을 난 참을 수가 없어요." "그 일이 내 능력 밖이라는 사실을 모르시겠어요? 내가 동물원에 보내는 <이 애를 우리에 가두시오>라는 편지를 써 주기를 원하세요? 아니면 과학자에게 그 애를 넘기기를?" - p.143


책을 보며 떠오르는 이런 저런 생각을 주체할 수 없어 따로 노트에 끄적여 가며 읽었지만 어느 새 빠른 속도로 넘어가는 책장에 정리고 뭐고 작품에 푹 빠진 저를 발견했네요. 일단 몇 가지 에피소드와 경험이 떠올랐는데 tv에서 보게 되는 영재나 범죄자 같은 극과 극의 인물들을 보며 종종 우리는 그 부모들을 떠올리게 된다는 거예요. 그런 면에서 해리엇이 느꼈던 죄의식이나 윤리적 책무감은 말할 수 없는 거대함으로 다가왔을 거라고 봅니다. 어쨌든 아이를 낳은 당사자이고 엄마니까 불행을 외면할 수 없었을 거고 영원한 죄책감에 허우적대느니 차라리 벤과 함께 소외되는 쪽을 택한 거죠. 하지만 그 안에 '사랑'이 작용하진 않았어요. 의무감에 가까운, 어쩌면 다리를 저는 불치병 환자가 그 다리를 잘라내지 못하고 저는 다리를 평생 달고 다녀야만 하는 숙명처럼 말이지요.


그녀가 벤에 대해 생각할 때 그건 사랑이나 온정의 마음에서가 아니었다. 그녀는 자기 내부에서 정상적인 감정적 불티 하나도 찾을 수 없는 자신이 싫었다. 오히려 죄의식과 공포감으로 그녀는 밤새 잘 수 없었다. - p.105


한편, 벤의 이질적 행동을 통해 현대 인간의 우월의식을 생각해 보게 되는데요. 모든 면에서 정상치의 범주를 벗어난 능력을 가진 그가 이해받고 받아들여지는 곳이 집 밖의 '존' 패거리들과 데릭외 그의 갱단인 것은 처음부터 그가 있어야 할 곳이 집이 아닌 바깥이며 크게는 문명의 아웃사이더가 되야 할 필연적 운명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어쩔 수 없는 한 아이의 운명이 온 집안을 쑥대밭으로 만들어 놓고 가족 모두를 뿔뿔이 흩어 놓은 중심에는 해리엇과 데이빗의 행복에 대한 집착과 허상이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행복해질 거란 믿음 아래 그 조건들 하나 하나를 자신들 밑에 두고 통제하려 했고 아이와 집 또한 그런 믿음에 역행하지 않고 잘 따라주리라 믿었으니까요. 작가는 이런 허술하기 짝이 없는 이상적 가족 이데올로기에 대한 판타지를, '야만'이 등장하여 한 가정이 파탄을 맞는 과정을 통해 적나라하게 보여줍니다.


"(...)우리가 복권 추첨에서 무엇이 나올지를 선택할 수 없듯이 아기를 갖는 일도 마찬가지랍니다.(...)"- p.139


암시적으로 끝이 난 소설은 우리에게 어떤 것이 옳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벤이란 존재가 우리에겐 때론 무엇이며 해리엇이나 데이빗이 되려 한 적은 없는지 제 자신을 돌아보게도 만들었습니다. 전 아직 미혼이라서 아이에 대한 부담은 멀게만 느껴지지만 만일 기혼이며 자녀계획이 있는 여성이라면 적어도 이 얘기가 남의 일 같이 여겨지지는 않을 것 같아요. 다자녀 일 때 애정의 분배 문제라든지, 육아와 바람직한 가정상에 대해선 가장 현실적으로 와 닿는 독자들일테니까요. 좁은 공간 속에 이념의 충돌이나 윤리의식, 모성애, 가족 이데올로기의 진상, 차별 등 많은 문제를 담아내고 있으며 후반에 가서는 추리 소설 못지 않은 긴장과 속도감을 느낄 수 있어 작품성과 흥미 모두를 만족시켰던 수작이라고 생각합니다. 임신부 외 모든 독자에게 일독을 권해 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