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토너
존 윌리엄스 지음, 김승욱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1월
평점 :
우리는 모든 소설을 읽을 때 장대한 서사와 긴장감 넘치는 스릴, 그리고 짜릿한 반전을 기대한다.
나 역시 이 작품을 읽을 때 그런 일말의 희망을 품었던 것 같다. 하지만 아쉽게도 소설의 주인공 '윌리엄 스토너'는 이른 바 평범한 삶을 살다 간 대부분의 사람들 중 하나였다. 예술에 속하는 대부분의 작품과 그것을 빚어내는 천재들의 인생 또한 우리가 보기에 특별하고 찬란한 그 무엇으로 여겨지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현실은 꼭 그렇지만은 않은데도 말이다.
스토너는 소박했던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부모의 권유로 입학하게 된 미주리대학에서 한 강의를 통해 문학의 참맛을 알게 되어 귀향하기로 했던 처음의 결정을 돌려 문학도로써의 길을 걷게 된다. 그 후 발발한 전쟁에 자원입대하여 몸을 불사르는 학생과 교수들 가운데서도 홀로 학업에 매진하며 그 와중에 동료 매스터스와 아처슬론 교수의 죽음, 그리고 부모의 연이은 사망은 그를 몹시 깊은 상실감과 무력감에 빠지게 만든다. 결혼 전 아름다웠던 아내 이디스는 그레이스의 출산과 함께 더욱 히스테릭하게 변해가고 그것은 딸에 대한 집착과 통제로 이어진다. 둘은 같은 공간을 영위할 뿐 남보다도 못한 서로에게 무관심한 일상을 그저 묵묵히 살아간다.
타인의 입장에선 문학교수로서 남부럽지 않은 그의 삶을, 독자의 눈으로 보면 이처럼 지루하고 평범한 사람이 또 있을까 생각하게 되는 건 무슨 이유일까. 그는 실패한 결혼, 그리고 마치 자신의 삶을 무덤덤히 관조하듯 살아가는 방식에 곧 익숙해진다. 중요한 장례식과 파티석상에서도, 내면에서 울리는 자신의 음성과 표정을 더듬어 가듯 느끼는 무감각함과 초연함을 잃지 않는다. 이미 삶의 모든 부분에서 최대 경험치를 초월한 것처럼 어떤 상황이 닥쳐도 감정의 기복이 없는 냉혈한으로도 보인다 . 찰스 워커를 두고 벌이는 동료 로맥스와의 잦은 트러블에서 자신의 뜻과 의지를 굽히지 않는 면을 보며 자기주관을 고수하고, 또 그것이 초래하는 결과나 사태에 대해 기꺼이 감수하는 자세는 지극히 계산적이고 자신에게 유리한 쪽을 향해 달려가는 우리 시대 인간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기 충분했다.
캐서린을 만난 건 외도이기 보다 차라리 감정의 트임이라고 해야 마땅한 듯 보였다. 그녀를 만나면서 느끼게 된 묘한 설레임과 흥분은 이전의 밋밋한 일상을 이어왔던 그에게 활력과 기대를 불어넣어 주었고 둘의 이별 후 오랜 시간이 지나고 접하게 된 그녀의 저서를 보며 묘한 향수와 그리움, 그리고 또 한번의 상실감에 젖게 된다.
소설은 스토너의 특별할 것 없는 삶을 묘사하고 기복없는 그의 감정과 상황을 설명함에 지나지 않지만 그에 반해 무척이나 아름다운 필치를 자랑한다. 또한 과연 성공의 삶의 정석이란 무엇인가, 우리가 희망하는 인생의 반전이란 지극히 소수의 사람의 것이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의 인생을 수동적이고 대충 살아간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는 지금, 이 소설이 말하고자 하는 건 극적인 성공을 이뤄낸 사람들에 대한 무턱댄 선망과 부러움은 나머지인 우리의 삶을 더욱 형편없고 보잘것 없는 것이 되게 한다는 게 아닐까 하고 생각해 본다 . 단 한페이지로 요약이 가능한 스토너의 평범한 삶은 세상 모든 이들의 인생의 어디쯤 자리하고 있을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출간 후 50년이 지나고 비로소 빛을 발한 이 작품의 저력이 '스토너'라는 결코 우리와 멀리 있지 않은 친숙한 인물에 공감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그래서 특별한 삶만을 조명해 온 그 동안의 소설들보다 더 감동적으로 다가오는 이유가 아닐까 하고 생각해 본다. 이 소설을 세월이 흐르고 몇 십년뒤에 읽는다면, 혹은 지금 인생의 뒤안길에 접어든 이가 읽게 된다면 내용이 더욱 더 의미있게 다가올 듯 하다. 아직은 완전히 인생을 알지 못하는 내가 이해하기엔 소설은 너무나도 깊고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