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 대 밑바닥 노동 - 야/너로 불리는 이들의 수상한 노동 세계 유스리포트 YOUTH REPORT 2
이수정 외 지음 / 교육공동체벗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 미성년자나 학생들이 알바를 한다고 하면 '용돈벌이'란 개념이 일반에게 심어져 있어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청소년이 굳이 일을 왜 하냐고 묻는 사람들에게 이미 십대노동인권문제는 뒷전으로 밀려나 있는 것이다. 가끔 식구들과 외식을 하러 갔다가 혹은 편의점에 물건을 사러 들렀다 알바생이 점주에게 된통 혼나는 광경을 심심찮게 보기도 한다. 반말과 욕설로 칠갑된 듣기도 민망한 소리를 아무렇지도 않게 내뱉는 어른들을 보며 나는 안됐다는 생각과 함께 왠지 모를 부끄러운 수치심이 확 밀려오는 걸 느끼곤 했다.


이 책에서는 10대 노동자들의 다양한 일터에서의 삶과 고충을 인터뷰하고 그들이 노동전선에 뛰어들게 된 배경과 사회적, 법적토대의 미비함을 지적하며 그 미래의 향방을 제시하는 것으로 인식의 전환점을 마련하는 계기를 만들어보고자 한다. 이미 일하는 청소년에 관한 르포나 뉴스는 다뤄질대로 다뤄졌지만 그에 관한 사회적 대안은 아직 제자리 걸음 수준이다. 

호텔, 택배 상하차, 배달대행, 편의점, 사무보조, 콜센터, 음식점, 카페, 병원등 청소년들이 진출해 있는 노동형태는 천차만별이다. 하지만 당연한 임금협상의 기회조차 갖지 못하고 엄격한 갑과 을의 종속관계에 매여 약자로써 처우개선이나 언감생심 연장수당같은 건 꿈은 꾸지도 못하는 것은 일반인에 비해 압도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놓여있는 현실이다. 최근 음식점들이 직원을 따로 고용하지 않고 배달대행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서 더 먼거리를 더 빠르게 밟아야 하는 위험은 고스란히 음식점과 대행업체의 수익으로 돌아가게 되었고, 이 같은 간접고용의 형태가 늘어나면서 업무 중 다치거나 임금체불등 불리한 상황이 닥쳤을 때 책임을 물을 대상이 묘연해진 것등은 사회경험이 없고 노동관련법을 잘 모르는 어린 청소년들의 위치를 이용해 더욱 불안한 고용의 현실로 치닫게 만들고 있다. 한편 노동자를 구제해야 할 근로감독관은 업주들과 한 통속이 되어 받아야 할 임금을 포기하게 되거나 그냥 적당히 넘어가는 타협으로 끝내는 일이 다반사라고 한다.



점심밥을 꾸역꾸역 먹으며 고객에게 응답을 하고, 알아서 요령껏 쉬는 것이 몸 안 망가는 비결(?)이라는 이상한 노동환경들 속에 한 달이면 제 풀에 나가떨어지거나(중간에 그만두면 임금을 안주지만 감수한단다.) 그만두고 또 다른 직업을 전전하는 일이 반복되는 바깥생활. 그들이 일을 하게 된 계기 중엔 그저 '노는 애'라서 혹은 '유흥비'나 사치가 목적이 아니라 가족과의 불화로 인한 독립이나 여의치 못한 형편에 '모두벌이'에 합세하게 된, 엄연한 '생활비 마련'의 의미가 짙은 경우도 적지 않았다. 아예 부려먹을 요량으로 청소년을 쓴다는 업주는 사사건건 불리함을 따지는 알바생에게 "너라면 그런 법 다 지키고 애들을 쓰겠냐?"란 말로 당당히 자신의 부당성을 인정(?)한다. 이런 청소년들이 함께 일하는 곳엔 연대가 될 만한 노조도 단결고리도 부족해 노동인권에 대한 법을 잘 알고 있는 아이들이 있어도 그 목소리를 내기가 여의치 않다. 그저 서로 눈치만 보며 무언의 감시와 통제로 하루를 보낸다는 안타까운 이들을 보며 화가 나고 분통이 터졌다.



요즘 애들은 참을성도 없고 책임감이 부족해서 자주 일을 그만 둔다고 탓하기 전에 그 일자리는 머무를 만한 곳인지를 먼저 질문해야 하지 않을까. (...)  XX이는 노동이 숭고하다는 이상을 강변할 게 아니라, 현실의 노동은 왜 숭고하지 못한지, 노동이 숭고해지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질문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 p.112



너무 힘든 나머지, '알바를 하려고 사는 건지 살려고 알바를 하는 건지 모르겠다'는 푸념을 늘어놓던 한 인터뷰대상 학생이 유독 기억에 남는다. 우리는 교육과정에서 순종하고 예의있고 어른에게 말대답하지 않고 자기 의견을 주장하거나 나서는 것을, 나대는 것으로 나쁘다고 배웠다. 또한 과거 학창시절 두발과 복장, 외모를 규제당한데 이어, 직장에선 개성을 무시한 깔맞춘 유니폼과 지나친 단정함을 요구당하는 것으로 통제의 연장선상에 서 있는 것이다. '말 잘듣는' 직원을 교육하는 교육현장과 본질적인 노동인권문제의 핵심을 보지 못하는 정부, 청소년노동을 안좋게 보는 사회적 편견들 때문에 진정 일이 필요한 그들은 오늘도 오해와 하대속에 힘들게 살아가고 있다.


가정에서 부모에게 상처받고 학교에서 내쳐진 아이들이 이렇게 얼룩진 사회초년경험의 기억을 안고 다시 고립되어 의지할 곳도 없게 되면서 그들이 기댈 곳이라곤 뜻을 같이 하는 친구 몇 뿐이게 되었다. 그들은 힘겨운 일에 치이면서도 보통의 십대들과 같은 미래를 꿈꾼다. 그 꿈 중 하나가 당사자인 그들의 목소리가 담긴 청소년노동정책의 변화라는데 언제 그 요원한 길이 열리게 될지 나 또한 무척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