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다 - 김영하의 인사이트 아웃사이트 ㅣ 김영하 산문 삼부작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웹서핑을 하다 어느 분의 블로거에서 김영하님의 강연영상을 본 적이 있다. 내가 주로 읽은 그의 소설 속에서 느껴졌던 음침함, 무겁고 우울함과는 달리 그는 관객들앞에서 유쾌하게 자기의 진솔한 이야기를 해나가고 있었다. 인상깊었던 것은 작가로서의 애로사항, 결코 순탄치만은 않은 글쟁이의 애환을 솔직하고 담백하게 털어내는 그의 모습에서 내가 평소 상상으로 그려왔던 '살인자'를 만들어내는 기괴한 작가의 이미지는 그제야 현실에서 평범한 이야기'꾼'의 얼굴로 드러나게 된 것이었다. 그의 작품을 소설이 아닌 산문집으로는 처음 만나는<보다>. 생각외로 유머스러운 구석도 꽤나 있구나 하는 생각과 자주 언급된 것으로 보아 영화보기를 즐겨할 것 같은 작가의 다각적 사회현상과 키워드분석에 시간가는 줄도 모르고 빠져들었다. 제작년 이동진의 <빨간책방>에 나와서 심상치 않은 말솜씨를 뽐내던 그의 목소리를 들으면서 대학시절과 군대시절, 그리고 유학시절을 거쳐 타인과는 남다르게 살아왔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어 기회가 되면 좀 더 살아온 얘기를 듣고 싶었던 차에 이 책이 반가웠던 건 두말할 것도 없었다.
김영하 작가는 다들 알다시피 너무나 잘 알려진 소설가 중에 한 명임에 틀림없지만 의외로 많이 팔리는 작가는 아니다(본인의 얘기로는). 그보다 꾸준히 팔리는 스테디작가다. 반짝 팔리고 마는 베스트셀러 작가보다 결국엔 뒷심좋고 널리 사랑받는 잊혀지지 않는 작가. 그래. 그에겐 차라리 후자 편이 어울리는 것 같긴 하다. 아직은 인문교양 쪽에 편중된 내 독서취향에 그나마 소설로써 이해가 쉬운 작가가 김영하 작가인데 이번 산문집은 그의 과거 대학시절 겪은 에피소드나 철학적 질문, 생활의 단상 그리고 일상의 편린의 조각맞춤같은 부담없는 읽을거리로 가득차 있다. 그중에서 특히 과거 유럽여행을 하면서 만났던 여인과의 인연을 훗날 보게 된 영화 <비포 선라이즈>,<미포 미드나잇>과 엮어 다룬 이야기는 괜스레 나까지 설레이게 만드는 일화였다.
느긋한 전세 부자와 조급하고 초조한 빈자의 대비를 극명하고 날카롭게 바라본 <시간 도둑>과 <머리칸과 꼬리칸>, 어디에서도 속하지 못하고 머물지 않는 우리 사회의 또 다른 아버지상을 조명한 <아버지의 미래>, 가장 어려운 연기는 자기 자신을 연기하는 거라는 심오한 이야기 <연기하기 가장 어려운 것>은 철학적인 사색과 지금 우리 사회가 당도해있는 곳을 생각하게 만드는 진중한 화제다. 문제작 '비상구'의 영화화로 '원작자'의 묘한 감정을 얘기한 부분에서는 자못 아쉬움과 부끄러움이 느껴지기도 한다. 특별한 군생활에서의 경험담을 배경으로 죄와 인간의 단상을, 다양한 사회문제의 반영거울이 되는 '택시'라는 교통수단에 대해 펼치는 다양한 상상의 나래와 정치적 해결이 요원한 시스템적 문제를 한탄하기도 한다. 한편, 왜곡된 출판시장의 세태에 대한 아쉬움이 묻어나는 글 <패스트패션 시대의 책>은 수많은 문인들의 입장을 대변한 듯 하다.
글을 쓰는 사람이 보는 세상은 일반인이 바라보는 세상과 무엇이 다를까. 늘 궁금했던 거지만 소설가는 자신의 얘깃거리가 될 만한 소재와 인생에만 관심이 있고 아무리 안 그럴려고 해도 생각의 필터라는 것이 복잡하게 돌아갈 것 같은 사람들인데, 그래서 왠지 그들이 얘기하면 고상해지고 진지해지는 이런 주제들이 우리 같은 비전문가들의 입을 통해 거론되면 척한다느니 뜬구름잡는 얘길 한다느니 진지하게 받아주는 상대가 드물다. 때로는, 이렇게 절실히 필요한 충고와 정직한 시선을 한 시대의 소설가의 입을 통해 듣고 기대해야만 한다는 사실이 안타깝기도 하고 아쉽기도 하다. <읽다>와 <말하다>라는 책이 시리즈로 연이어 출간된다는 소식이 들린다.
작가 김영하의 개인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이 독서와 책에 얽힌 이야기로, 강연에 담겼던 이야기로 나오는 다음 책이 너무 기대되며 항상 독자와의 소통을 중요시하는 그에게서 사람 냄새 물씬 나는 인간적인 작가라는 생각이 더욱 들게 되는 독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