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고 싶다 - 2014년 제10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이동원 지음 / 나무옆의자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본성을 연구한 실험과 역사가 오래된 지금도 그에 관한 영화, 드라마, 소설등이 인기리에 팔리고 되새겨진다. 그러한 도덕적 선악과 폭력, 사회 부조리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는 군대라는 곳이 오늘 이 책의 주무대이다.

군대 내 부당폭력으로 인한 자살, 탈영, 하극상등이 뉴스거리가 되어 오르락내리락 거린게 어제 오늘 일이 아닌 반면, 한편에선 요즘 군대 많이 좋아졌다고 예비군들이 호강에 겨워 젊은 군인들 군기가 다 빠졌다고 혀를 차며 자신의 왕년 현역시절을 회상하곤 한다.

소설은 내용이 다분히 예상되는 듯한 '살고 싶다' 란 제목부터 독자의 이목을 잡아 끈다. 스토리의 배경이 되는 곳은 군대지만. 정확히 말하자면 국군통합병원이라는, 군병원에서 발생한 연쇄자살사건을 둘러싼 의혹과 그를 파헤치는 주인공 이필립의 내적, 외적갈등이 핵심적으로 다루어진다. 누구보다 지적, 도덕적 우월감으로 똘똘 뭉쳤던 이필립은 입대 후 '관심사병'으로 낙인찍히고 그것을 만회하기 위해 박대위의 제안을 받아들여 친구의 자살원인을 알아내고자 안 그래도 자주 들락거려 눈치보기 급급한 광통으로의 세번째 후송을 가게 된다.


친구 선한의 죽음이 단순자살이 아닌 병실 내 모함과 오해로 얽힌, 괴소문에 의한 죄책감으로 인해 발생한 결과임이 밝혀지게 되는 과정에서, 이어지는 사병들의 자살및 자살시도에 대해 무뎌진 감정과 사건해결에만 급급한 냉혈인간이 되버린 자신을 돌아보며 주인공 필립은 내면에서 올라오는 구역질나는 자기혐오에 빠진다. 소설은 묘하게도 기독교적 세계관과도 어렴풋이 닿아있는데 여기서 '기도'라는 행위는 군대내의 부당한 분위기에 자연스레 동화되어 저지르게 되는 폭력과 정신적 살인등에 대해  죄책감을 가지고 자기반성을 하거나 회개하는, 일종의 죄의식 청산의 의미가 크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그러한 분위기에 적응하는 속도가 더디고 빠름에 '부적응자'과 약삭빠른 '일반병사'로 양분되는 게 오늘날의 변하지 않는 군대현실이다. 그 곳은 분명히 강자가 지배하는 권력의 남용지대지만 그러한 권력을 쥐고 흔드는 실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갈이되고 어느새 이병이 상급자가 되어 자신이 당했던 일을 그대로 되갚아주는 악순환이 종종 자행되는 현실에, 계급과 특수한 상황에 한없이 유동적인 인간의 본성이 때론 얄궂게 느껴지기도 한다.

사회에서 겨우 스물 남짓한 인생을 살아온 한국의 남자들은 아직 직장생활도 제대로 해보지 못한 채 덜컥 군대라는 계급집단에 하루아침에 떨궈져 낯선사람들과 환경에 뒤섞이게 된다. 누군가는 자신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누군가는 오만했던 자신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된다는 군대. 작가는 그 조직에서 벌어지는 크고 작은 실상들 중에 자살과 우울이라는 결코 유쾌하지만은 않은 소재를 가지고도 소위 군필자들과 현역들은 알만한 군대 특유의 속어와 은유법을 잘 버무려 때론 유머스럽게 사실적으로 다가오게끔 독자들을 요리한다. 


주인공 필립과 자살한 친구 선한의 공통점 역시 군대 내에서 자신의 가치 재증명이라는 처절한 자기구원에 있었다. 시인이라는 꿈에 한 발짝 더 다가서는 계기가 된 선한의 여장교를 향한 짝사랑, 하지만 다수를 이끌어야 하는 병실장의 입장에서 수치심으로 가득찬 소문이 퍼짐에 견딜 수 없는 괴로움으로 자살을 택한 선한이 마지막으로 찾은 이는 ....


영화 <용서받지 못한 자>가 오버랩되어 생각나는 이 소설은 최근 군대조직내 위계질서를 심하게 왜곡해 보여준 미디어와 예능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띠며 진행된다. 표면적으로 사라진 듯한 이러한 부정부패 관습은 군대뿐만이 아니라 권력이 존재하는 사회 어느곳에서나 찾아 볼 수 있다. 전쟁을 대비하고 평화를 위해 만들어진 집단 모임이 아니러니하게도 구타와 살인, 탈출이라는 음습한 사회현실의 반영이 되는 대표적인 곳이라는 것이 씁쓸하기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