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인간
성석제 지음 / 창비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단 한번 정독을 하고 서평을 쓴다는 건 참 어려운 일인 것 같다. 다른 소설과는 달리 극 중 화자가 딱 정해져서 그 시선으로 세상을 보고 듣고 진술하는게 아니라 이야기 속 주인공 만수를 비롯한 주변인물들이 차례로 돌아가며 자신의 내면적 갈등을 드러내고 각각의 입장에서 가족들과 주변상황을 비판하고 좌절하고 사고하는 과정을 디테일하게 그려냈다. 이러한 기법이 처음에는 낯설기도 하고 헷갈려서 단락이 바뀌어 다음 인물로 넘어가는 첫 한두줄은 누구의 말이고 시선인지 단박에 알아채기 힘들었다.


이야기는 만수의 조부모와 어머니, 아버지, 그 형제들이 살아지나온 한국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한다. 만수의 조부는 다방면으로 유식한 인물이지만 독립운동혐의로 온가족을 개운리 산골짝으로 숨어들어가게 한 원흉이라며 아들과 손자에게 틈틈이 원망을 듣는다.

장남 백수는 착하고 영특해 대학까지 일사천리 들어갔으나 자원입대한 군에서 병사하고 막내 석수는 어릴적 부터 윗형 만수를 무시하고 형 취급도 안하는 이기적인 아이였다. 장녀 금희는 맘씨가 고와 항상 집안에서 천덕꾸러기인 만수를 감싸주고 남몰래 어려운 사정 불사하고 죽기 전까지 가족을 위하던 큰 오빠에게도 지극했다. 그런데 뭔 놈의 평지풍파가 이 집안을 그렇게도 들쑤시는지 하루도 바람 잘날이 없다. 간호조무산지 뭔지 되겠다던 둘째 딸 명희는 연탄가스중독으로 바보가 되고 석수는 어느 날 집을 나가 소식도 없다가 군입대를 안하려 별 수를 다 쓴 끝에 오영주라는 여자와 엮여 아들 태석을 남긴 채 자취를 감춘다. 금희는 식구들의 못마땅함을 뒤로 하고 일찍이 깜둥이 트럭기사와 결혼을, 어린 시절 앞길 하나 헤쳐 나갈 수 있을까 식구들의 걱정을 한 몸에 받던 만수는 공전 졸업 후 어느 새 세차장과 자동차부품공장, 세탁소, 가사일, 목욕탕청소, 음식과 신문배달등 안해본 일 없이 닥치는 대로 돈을 벌어 식구들과 부모를 먹여 살리기 바쁜 가장이 되어 있다. 어찌 보면 지금의 현실 속에서 이런 만수 같은 캐릭터는 비현실적이다. 사람 좋고 믿음직하고 서글서글하니 누가 봐도 성실하고 티끌하나 없이 맑은 인물인데 다른 시선으로 보면 참 바보같고 이해 안되는 부분이 많다. 자신의 공장이 다른 채권단이나 투자자들에게 넘어갈 위기에 처해있을 때에도 공장을 지키기 위해 앞장서서 장기농성을 하고 투쟁하느라 '최후의 7인'의 치닥거리를 자처하는 모습은 기사식당을 운영하는 옥희를 비롯한 가까운 지인과 식구들의 입장에선 미칠 노릇일 것이다. 옥희 눈에 가시 같았던 진주도 만수와 결혼 후 버릇없는 태석과 앞가림 못하는 시누이, 끝도 없는 집안일에 신장병까지 겹쳐 하루가 다르게 짜증이 나고 사람 좋은 남편 만수에게조차 정이 다떨어질 지경이다.


소설 속에선 열심히 살고 부지런한 사람이 잘 사는 세상이란 없는 것 같다. 착한 만수 주위에도 그를 시기하고 미워하는 사람이 있고 서로의 속마음을 철저히 감춘 채 방어적으로 살아간다. 그는 어릴 때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식구들과 사람들의 희생의 발판이 되길 주저하지 않았으며 종국엔 사람들이 신경도 쓰지 않는 '투명인간'이 되어 버렸다. 슬프고 씁쓸한 일이지만 이건 결코 소설 속에 국한된 허구가 아닐 것이라는 생각이 날 더 괴롭게 한다. 좋은 취지로 사람들을 돕고 가족을 부양하고 책임자가 되고.. 그것들의 댓가는 과연 무엇으로 돌아올까.


나는 1980년대생으로써 이 책에 기술된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군부독재정권시대등을 관통하는 지난 세기의 역사가 어땠는지 잘 모른다. 할머니와 아빠의 이야기로 어렴풋이 그 시절을 짐작할 수 있었을 뿐 얼마나 치열하고 어렵고 힘든 삶을 산 이들이 많았는지 몰랐다. 전후 물질만능주의와 자본주의가 팽배하는 시대가 도래한 뒤 그들의 갈 곳은 없어진 것 같았다.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하고 방황하는 존재로 남았다. 투명인간. 참 많은 뜻이 내포되어 있는 것 같지만 허무하기 짝이 없고 모두에게 버려진 듯한 운명에 처한 이들을 일컫는 말 치곤 참 잔인하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