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드 인 공장 - 소설가 김중혁의 입체적인 공장 산책기
김중혁 글.그림 / 한겨레출판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중혁 작가를 알게 된건 즐겨듣던 팟빵 이동진의 '빨간책방'때문이었다. 말을 조리있게 잘해서 뭘하시는 분인가 했더니 에세이와 소설을 주로 쓰시는 작가분이셨다. 그가 하는 말을 들어보면 언어의 연금술사같아서 소설을 안쓰셨으면 뭐했을까 싶다. 감상적이기도 하고 말이다.


잡설 그만하고;; 이번에 나온 책 <메이드 인 공장>은 제목만 보면 얼추 내용이 짐작가는 듯하다. 우리가 입고 먹고 마시고 가지고 다니는 문화, 음식, 패션등등의 생활전반에서 우리가 쓰고 이용하는 상품에 대해 저자가 궁금증을 가지고 이 공장 저 공장을 탐방하며 1년간의 그 기록을 엮어낸 공장탐방기다. 나도 공장에 대한 막연한 이미지를 가끔 떠올려 볼 때가 있는데 그것은 깨끗하지 못하고 냄새나고(어째서?)아무튼 위생적이지 못한 어떤 것을 막연히 생각한 것이었는데 책에 나온 공장의 얘기를 듣고 그건 나의 완전한 편견이었다는 걸 깨달았다.

조금은 은밀한 콘돔과 브래지어 생산 공장에서의 민망한 취재기도 웃기고 라면과 간장공장 부분을 읽을 때는 짭짤하고 맛있는 냄새가 풍기는 것 같았다. 그다지 수요가 많을 것 같지 않다고 여겼던 지구본의 제작과정은 정말 세계를 창조하는 기분으로 만들지 않을까 싶은 장인 정신이 돋보이고 나름 가방에 관심이 많았던 터라 가죽을 위주로 제조하는 가방공장 이야기도 재밌었다. (한마리의 소가죽에서 나오는 가방이 그다지 많지 않다는 사실에 그 많은 가방을 생산할려면 얼마나 많은 소가 도축될까 하는 미안한 마음도 들었다.)


공장 각각의 특색이 있었지만 만드는 제조공정과 그에 따른 일사분란한 직원들의 손놀림과 대부분 몇십년을 한 직업에 종사한 분들의 자부심은 대단한 것 같았다. 사람의 기술도 중요하지만 세월과 시간이 요구되는 간장공장과 도자기 공장, 기계가 너무나 많은 일을 도맡아 하기에 사람이 할일은 점점 사라지는 것 같은 씁쓸한 기분도 든 곳도 있는 반면 엘피나 가방 공장은 기계로 할 수 있는 부분이 극히 한정되 있어 사람이 일일이 수공으로 작업해야 하는... 아직은 사람의 손이 많이 필요한 공장도 있음이 다행이라고 느끼면서도 그런 공장은 없어지지 말았으면 하는 기분도 들었다. 


그리고 대장간(이라는 말조차 촌스럽게 느낀 나지만)이 아직도 건재하게 돌아가고 그 곳을 찾는 사람들이 끊이지 않는다는 얘기에 평소 대장간 일을 아직도 배우려는 사람이 있을까 하는 생각도 나의 오산인 걸 알았다. 그리고 평소 피아노 가진 친구들을 보면 되게 부럽고 옆집에서 누가 이사를 올 때 피아노가 있으면 아.. 잘사는 집이구나.. 하던 시절이 있었는데 그 피아노에 대한 제조 공정 역시 단순히 제품이 아닌 소리를 만드는 직업이라고 표현한 저자의 말이 정말 공감이 갈 정도로 섬세하고 까다로운 작업인 것 같았다. 내가 사랑해 마지 않은 책들이 처음 물질로써 태어나는 곳 제지 공장은 꼭 한번 나도 가 보고 싶단 생각이 들었는데 역시.. 소설가 겸 책을 좋아하시는 분이라 처음에 넣으셨다.


요즘엔 tv를 잘 안봐서 모르겠는데 생활의 달인이라는 프로그램을 즐겨 보던 때가 있었다. 거기 보면 온갖 종류의 직업군의 사람들이 나와 자신의 일에 자부심을 가지고 열심히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모습이 참 보기 좋았다. 직업엔 귀천도 없고 아무리 기계가 발달하고 빠르고 디지털적인 시대가 와도 사람의 손이 꼭 필요한 부분은 어딘가 있을거라는, 없어지면 안된다는 저자의 말이 가슴에 와닿는다.

앞으로 어떤 물건이나 상품을 보면 그 자체만 보지 말고 그 상품에 거쳐간 사람들의 노력들과 시간을 생각하며 귀중하고 고맙게 쓰고 입고 먹고 마셔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