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서의 괴로움
오카자키 다케시 지음, 정수윤 옮김 / 정은문고 / 2014년 8월
평점 :
절판
1년 반 전, 현재 살고 있는 집으로 이사를 했는데 그 당시 잃어버렸는지 최근 책 한 권이 눈에 띄질 않는다. 평소엔 전혀 들춰 보지도 않고 단 한번 읽어보고 꽂아둔 책일 뿐인데 없어진 걸 알았을 때부터 지금까지 맘이 편치 않다. 이런 걸 보면 수백, 수천권을 넘어 수만권의 오래된 장서들을 쌓아두고 사는 장서가들에게 각각의 책마다 사연이 추억과 오죽이도 많을까 싶다.
이 책 '장서의 괴로움'의 저자 오카자키 다케시는 자택에 무려 3만권이 넘는 장서를 보유한 엄청난 장서가다. 자신과 비슷한 처지의 괴로움(?)을 안고 살았던 혹은 현재도 진행 중인 일본 각지의 장서가들의 일화를 소개하는데 하나같이 차마 웃지 못할 에피소드다.
목조를 기반으로 한 일본가옥의 특성 상 집이 내려앉는 건 부지기수이고 전시에 책이 모조리 불타 없어진 사례도 적지 않다. 더 이상 책을 둘 곳이 없어 특단의 조치로 책을 내다 판 사람이 다음 날 그 허전함을 어쩌지 못하고 책 십수권을 사 짊어지고 집으로 돌아왔다는 웃픈 얘기도 같은 독서가로서 절절히 공감이 가긴 마찬가지다. 책을 읽다 보면 우리나라보다 활성화되 있는 듯한 헌책문화가 부럽기도 하고 온라인 책주문에 익숙한 나로서는 책방 주인과 안면을 트고 지낸다는 점에 있어서는 낯설기도 한 느낌이다.
나는 아직 내 책을 떠나보낸 경험이 없지만 만약 불가피하게도 그래야만 하는 상황이 온다면 참 씁쓸할 것 같다. 지은이가 말한 적정 장서량인 500권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라 여전히 여유를 부릴 수 있겠다 싶다가도 최근엔 책을 읽다 보면 그 책에서 뻗어 나가는 파생효과가 너무 커서 책에서 책으로 이어지는 위시리스트가 날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어 책이 성가신 사태가 오기 전에 진즉에 내게 영양가가 있는지의 여부를 잘 판단해 책 구입에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예전에 읽었던 '책은 죽었다'라는 책을 보면 책의 본질과 사상을 두각시키려면 책이라는 물질에 대한 소유욕과 물성을 없애는 게 진리라고 나와 있는데 한편에서는 이토록 종이책을 사랑하고 그에 따르는 생고생을 행복이라 자처하는 이들이 도처에 깔려 있으니 완전한 E-book 시대가 도래하려면 아직도 멀었다는 안도감(?)이 든다.
평소에 가끔 드는 생각인데 집에 책이 단 한권밖에 없다면? 그 책의 영혼까지 빨아들이겠지? 영화 올드보이 주인공처럼 십수년간 날 어딘가 가두어 놓고 몇백권의 책만 제공한다면 난 필시 그 책에 관한 한 도사가 되겠지.. 하고. 책이 풍요로워진 요즘 시대엔 감옥에서나 실현될법한 이런 뜬금없는 상상이 책 한권 한권을 소중히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되곤 한다. 책은 읽고 보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므로 순환해야 한다. 누군가에겐 쓸모없어진 한 권의 책이 다른 누군가에겐 인생을 바꿀만한 구원의 한 줄이 쓰여 있는 보물일 수 있지 않은가.
북스프리나 책교환, 중고장터, 도서관등은 한 권의 책이 오랜 여행을 하며 지적생산의 유통이 되는 장인 것이다. 책을 집안 깊숙이 쌓아두고 장서가임을 자처하는 일은 절대 자랑이 아니다. 나도 이 책을 비롯해 몇 권의 책을 도서관에서 빌린 것인데 이 후에도 한 두달안에 10번 이상 이 책들이 생각나거나 필요하게 되면 그 때야 사서 소장을 하겠지만 아직은 한 권을 제외한 다른 책들은 그럴 계획이 없다. 그것은 내가 그저 많은 책을 소유한 장서가이기보다 한 권의 책이라도 진정으로 내 책으로 만들기 위한 애서가이고 싶기 때문이다. 주체할 수 없는 책들로 괴로움을 겪고 있는 불쌍한 중생이 있다면 이 책을 한번 읽어보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