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열 중단편전집 출간 기념 수상작 모음집 이문열 중단편전집
이문열 지음, 민음사 편집부 엮음 / 민음사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이문열 작가의 1979년 신춘문예 수상작이다. 이 작품은 여자인 내가 체험해보지 못한 '군대'라는 대부분의 남성들만이 아는 세상을 디테일하게 그리고 있다. 그래서인지 작전상황에 튀어나오는 특정 용어나 소속, 계급 등에 따라 달리 불리워지는 인물의 호칭 역시 익숙치 않아 독서에 난항을 겪었다. 배경은, 훈련도 실전처럼 살벌했던 1970년대의 한 전방부대. 제각기 하던 일을 멈추고 나라의 부름을 받아 달려온 대한의 남아들은 학력, 나이,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사회에서의 모든 이름표는 떼어진 채 새로운 신분으로 정렬된 상태다. 어떤 이는 이 점을 악용하여 늦깎이 후임을 하대하고 더러는 이것이 하극상과 군대 부적응이라는 감정의 골로 치닫기도 한다.

먹고 자고 향락을 즐기는 것까지 어느 하나 자유로운 게 없는 이 곳. 원칙과 규율 아래 거세된 그들의 욕구는 서로의 술잔을 기울이며 나누는 농과 함께 웃프게 삼켜야 할 어떤 것이 되버렸다. 그런 허무에서 비롯된 자기 방기. 이른 바 '병사의 절망'이란 말은 짐짓 가슴을 누른다. 작중 이 중위는, 이러한 사병들의 고충을 십분 이해하면서도 심 소위의 평소 질 나쁜 행실에 분개해 그를 치려 했던 강 병장에게 장교 신분으로써 느껴지는 어쩔수 없는 모욕감에 혼란스럽기만 하다.


군대라고 하면 무기 사용만을 떠올리던 때도 옛말이다. 취사병이 되어 총이 아닌 칼을 놀리는 이가 있듯 작금의 군대란 세분화된 병과 내에서 각자 나름의 반복 작업을 무한 지속하는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니까 말이다. 보이지 않는 적을 향해 오늘도 자행되고 있는 현대전의 실상. 그 속엔 작은 점과 같은 개개인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무리가 있을 뿐 뛰어난 지식인도 별 소용없다. 엘리트 코스를 밟은 노병 박 상병과 팔방미인 강 병장이 말한 무력감은, 이러한 자신이 맡은 바 임무나 계급에 국한된 것 이상을 보일 수 없는 현실에서 오는 자괴감에 다름 아닐 것이다. 오늘날 군 생활이 시간 낭비란 생각 역시, 다수의 고학력 출신자들이 단순 노동에 투입되어 재능과 시간을 썩혀야 하는 불합리한 매커니즘에 대한 저항이니 40년 전이나 지금이나 '병사의 절망'은 여전히 잔재하는 셈이다.



그렇다면 왜 난 경험해보지도 못한 '병사의 절망'이란 문구 앞에 격한 공감을 했나. 그것은 나 역시 사회 집단 곳곳에서 느껴본 그 비슷한 감정을 기억해 냈기 때문이다. 군대라는 특수한 집단이 상징하는 억압, 복종이 상황 자체를 과장하여 드러낼 뿐, 이 또한 위계질서가 갖춰진 조직 속 개인들 누구나가 겪어본 불편한 관례가 아닌가 말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작품 속에서 일어나는 병영 내 사건 사고는 모두 실제 전투에서가 아닌 병사들 간의 갈등이나 헤어진 연인 혹은 과감한 월북 기도로 단행된 극단적 선택인 것을 두고 보면, 제도가 만들어진 목적은 온데 간데 없고 그 허울만 남겨진 게 오래 전부터의 일이란 생각에 씁쓸한 마음을 지울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