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3 - 효종.현종실록 - 군약신강의 나라 ㅣ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3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인조가 청나라에 대해서 호의적인 소현세자에게 성질이 나서 벼루를 던졌고 그 벼루에 머리를 맞고 소현세자 즉사. 뭐 그런 이야기를 어릴 때 조선시대의 야사를 모아놓은 책에서 보았던 기억이 있다. 인조가 성급했단 생각도 있었지만 그 때 소현세자에 대해 들었던 생각은 '맞아 죽어도 싼놈'이었다. (물론 지금 다시 묻는다면 저런식으로 대답하진 않을 것이다.)
어찌됐건 찜찜하게 사망한 소현세자 대신 반청 기질이 강했던 봉림대군이 효종으로 즉위하고, 그는 임금이 되자마자 북벌이라는 키워드를 제시한다.
학교에서 효종의 북벌을 처음 배웠을 땐, 그건 참 멋진 계획이었다. 왜란이니 호란이니하면서 당하기만 하더니 이제야 뭔가 보여줄려고 하는가보구나 싶었다.
역사에서 만약이라는 가정만큼 부질없는 짓이 어디있을까? "효종이 조금만 더 오래 살았더라면...." 선생님들은 항상 이 말을 잊지 않고 하셨던 것 같다. 그럼 효종이 갑자기 죽지 않았다면 북벌의 꿈은 접지 않아도 되었을까?
책에선 북벌이라는 것이 효종의 정통성 확보를 위한 명분에 불과하지 않았나하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어느 정도 공감이 간다고 할까? 편안하게 조선에서 반청을 외치던 것들과 달리 효종은 소현세자와 함께 꽤 오랜 시간 청나라에서 볼모생활을 했다. 청나라가 만만하게 볼 상대가 아니란 사실을 그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 나이도 어느 정도 먹고 왕이 되었으니 아무 생각없이 북벌을 외치진 않았을것이다.
이 때쯤 되면, 신하들 기어오르는게 장난이 아니다. 반정으로 왕이 된 아버지 인조는 정통성이 약한 상태에서 호란을 겪으면서 체면 구긴다. 장자인 소현세자 대신 차남인 자신이 왕이 되었으니 정통성은 더욱 더 약해진다. 명분 중시 사회에서 정통성이 약하다는 건 왕권의 약화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 정통성을 확보하고 신하들을 누를만한 무언가가 필요했고 그게 북벌이었다. 신하들 입장에선 반대할 수 없는 북벌은 참으로 매력적인 수단이었을 것이다.
명분에 불과하다고 했지만, 그렇다고 말로만 북벌! 북벌! 외치진 않았다. 공격하기 위한 것이 아닌 방어하기 위한 목적이 다분했지만 군사 정비 등의 최소한의 노력은 보였으니 말이다.
효종의 이른 죽음은 안타까운게 사실이다. 북벌의 꿈이 좌절되어서라기보단 그가 조금 더 오래 살았더라면 조선에 어떤 긍정적인 변화가 있지 않았을까하는 기대 때문일 것이다. 최소한 아버지 인조랑은 비교하는게 미안할 정도로 임금다운 임금이었으니 말이다.
현종의 경우엔 송시열 주연의 '예송논쟁' 시대적 배경 정도 밖에 안되는 임금이었는데, 이번에 새롭게 안 사실들이 좀 있어 만족스럽다.
'예송논쟁'의 경우엔 토론문화였던가? 긍정적인 면에 대해서도 배웠지만(딱히 긍정적인 토론이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솔직히 죽으면 끝인데 산 사람 상복 문제로 그리 오래 싸웠다는 것 자체가 이해가 안된다. 그런 뜬구름 잡는 이야기엔 오랜 시간 소요하면서 대동법같은 현실적인 문제는 외면하고..암튼 정이 뚝뚝 떨어진다.
아버지 효종이 쩔쩔매던 신하들의 힘을 어느 정도 누룰 수 있게 되었을 때 세상 떠나버린 현종.이상하게 좀 괜찮다싶은 인물들이 빨리 세상을 등지니, 조선의 운이 다한건지....암울하기 그지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