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2 - 인조실록 - 명분에 사로잡혀 병란을 부르다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2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광해군과 인조 집권초기의 중국은 명청 교체기로 매우 혼란스러웠다. 상대적으로 약자라고 할 수 있는 조선은 줄서기를 잘 해야하는 상황이었다.   

광해군의 경우는 적절하게 조선에 유리한 쪽으로 줄타기를 잘 한 편이었다. 임진왜란으로 나라가 잿더미가 된 상황에서 중국 때문에 빼앗길 기력 같은 것은 없었을 것이다. 양쪽에게 미움받는 일은 최대한 피한 상태에서 유리한 쪽으로 행동하며, 명이든 청이든 상황 정리 될 때까지 조용히 지켜보면 될 일이었다. 

소중화 의식이 강했던 사대부들에게 광해군의 이런 정책은 반정의 빌미가 되었고, 인조가 임금 자리에 앉았다. 자신의 정통성을 광해군 부정에서 찾았던 인조는 외교정책을 광해군과는 정반대로 결정한다. 그리고 그 결과는 호란이었다.   

인조반정은 인조가 직접 칼 뽑아든 사건이었다. 반정의 조연에 불과했던 중종과 달리 주역인 그는 신하들 눈치를 볼 필요도 없었고 자신의 뜻대로 밀어붙일만한 힘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무엇이 문제였을까? 그건 그를 왕으로 만들어준 명분이었다.

중종이 신하들의 눈치를 보며 살았다면, 인조는 광해군의 눈치를 보며 살았다고 할만하다. 무엇이든 광해군이 했던 것과 반대로 가기만 했는데, 그건 자신이 왕이 될 때 내민 명분이라는 것이 광해군이 잘못했기 때문에 자신이 바로 세우겠다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자신이 폭군이라며 쫓아낸 사람과 같은 길을 걷는다면, 반정은 대체 왜 했느냐는 말이 나올것이고 반정의 명분은 약해진다. 결과적으로 자신의 자리도 흔들릴 위험이 있었다.  

여기까진 이해한다고 치고, 호란 뒤의 인조와 사대부들의 태도는 어땠던가? 

삼전도의 굴욕이라고 하는데, 인조는 무릎만 한번 꿇었을 뿐이다. 그는 딱히 분해하지도 않았고 오히려 궁궐에서 즐기면서 잘 먹고 잘 살았다.  억울하기로 치면 인조보다는 호란의 고통을 고스란히 겪어야했던 일반 백성들과 화냥년이라는 욕으로 변해버린 환향녀들이었다.

잡혀갔던 수많은 여자들이 돌아왔을 때 조선은 그녀들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몸이 더럽혀졌다며 여기저기 이혼하고 새장가 간다고 다들 바빴는데, 애초에 그녀들이 잡혀갔던 이유가 그들의 무능 때문 아니었던가?  

한번 크게 당했으면, 왜 당했는지...다시는 그런일이 없도록 힘쓰는 등의 반성과 노력이 필요한데, 인조는 그런게 전혀 없었다. 자신의 안위..그것만 지키면 그만이었다.   

선조보다 더 무능하고 광해군보다 더 잔인했던 임금 인조. 책에도 나와있지만 이런 사람에게 인조라니...참 재미있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