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 열림원 세계문학 7
조지 오웰 지음, 이수영 옮김 / 열림원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은 후 작성한 서평입니다>


열림원 세계문학 작가 조지 오웰의 <1984> 알고 계신가요??




저는 책 제목이 1984라서 처음에는 이 책이 쓰여진 시기가 1984년도인가 했는데, 그게 아니더라고요. 





이 책의 배경이 되는 해를 1984년으로 정한 이유는 이 작품을 1948년도에 완성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책은 본래 소련 스탈린의 통치를 비판하기 위해서 쓴 소설인데, 현재 일어나는 일들이 예견되어 있는 것 같아서 책을 읽으며 깜짝깜짝 놀라는 부분이 많았어요. 




마치 미래에 일어나는 일들을 미리 알고 있었던 것 같은 부분들이 있더라고요. 





열림원 세계문학 1984에서는 빅 브라더라는 인물의 독재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텔레스크린"이라는 장치를 이용하는데요. 




텔레스크린은 영상과 소리의 수신과 송신이 동시에 가능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소리와 동작을 감시할 수 있는 장치에요. 




심지어 화장실 칸막이 안까지도 감시가 가능한 장치라서 나의 모든 일들이 누군가에게 공유된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생각만해도 정말 끔찍한 일인 듯 합니다. 



사람들은 오랜 세월 그렇게 지내다 보니 그런 삶에 익숙해져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요. 



하지만 책에 나오는 사람들의 삶이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삶과 과연 무엇이 다른가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독재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은 아니지만, 우리도 사방에 놓여진 cctv를 통해서 우리의 일거수일투족이 다 녹화되고 있는거잖아요. 






권력체제에 반항심을 갖고 있던 주인공 윈스턴 스미스는 당의 통제와 진실을 의심하면서 불안불안한 행동들을 하나씩 하기 시작하다 급기야는 줄리아와 사랑을 하게 되는데 책을 읽는 내내 아슬아슬한 느낌이 들었어요. 



들키면 정말 큰일이 날 것 같은 느낌이었거든요. 



결국에는 함정에 빠져서 함께 체포되어 고문을 당하게 되고 사상교육을 받게 되는데,  솔직히 사상교육이라기 보다는 완전 세뇌를 시킨다는게 더 어울리는 표현인 것 같아요. 



혁명을 지키기 위해 독재정치를 하는 게 아니라, 

독재정치를 하기 위해 혁명을 일으키는 거야




제가 느낀 조지 오웰의 1984는 표면적으로는 민주주의 국가이지만 그 내면까지 들여다보면 누군가의 권력에 휘둘리는 우리 사회의 현재 모습이 오버랩되는 느낌이었습니다.



보통은 고전 소설이라고 하면 지루하고 재미없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 작품은 장면 하나하나 긴장감이 느껴져서 책을 펼치면 쉽게 덮을 수가 없었어요. 




현재 우리가 처해있는 상황에 절묘하게 맞아 떨어지는 부분들이 많아서 더 공감이 되는 책이었던 것 같아요. 




긴장감 넘치고 깊이가 있는 고전소설, 열림원 세계문학 작가 조지 오웰의 1984 꼭 한번 읽어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