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의 마법 (특별판 리커버 에디션) - 지식 세대를 위한 좋은 독서, 탁월한 독서, 위대한 독서법
김승.김미란.이정원 지음 / 미디어숲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승김미란이정원 지음


독서를 많이 하진 않았지만  읽는  좋아해서 꾸준히 독서를 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독서와 함께하려고 합니다.

책을 읽다 보니 내가 지금 제대로 독서를 하고 있는 건지 독서의 방향이 올바르게 가고 있는 건지 궁금했습니다

서재의 마법이라는 책은 나만의 서재를 20년간 쌓아오면서 위대한 독서법을 해오신 분의 책이어서 지금 나의 독서 방향과 방법이 잘되고 있는 건지 점검할  있는 기회가   같아 읽어보고 싶었습니다.


 킴과 미란의 인터뷰 형식의 글로  부분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서재 인터뷰 ‘ 번째 만남’ - 서재는 회복 그루터기

서재 인터뷰 ‘ 번째 만남’ - 서재는 역사의 궤적

서재 인터뷰 ‘ 번째 만남’ - 서재는 본질과 변화를 잇는 다리

서재 인터뷰 ‘ 번째 만남’ - 서재는 희망을 찾는 인간극장


인터뷰에 앞서 공항 검색대에 걸린 그의 가방 안에는 인생의 ‘방향 인생의 ‘방법 유지하는 수많은 기기와 케이블이 한데 모여있었습니다.

*갤럭시 노트 : 그림 그리기  스케치

*아이패드 미니 : 모바일 독서와 강의

*삼성 노트북 : 글쓰기 용도

*맥북 : 그래픽 용도


용도별로 기기를 사용하는 모습에서부터 범상치 않은 정리 기술을 엿볼  있었습니다.

저자 이정원님의 말처럼 김승님의 서재를 디지털 기기에 넣어버리기 전에  책을 접할  있어서 다행이라 생각했습니다.

 서재의 처음 시작은 어떻게 출발하였을까?

책은 어떻게 선정해 구입하고 배치하며 읽을까?

독서의 방법론이 있을까?

독서 이후 책의 내용을 기록하고 흔적을 남기며 활용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독서를 통해 축적된 지식을 데이터로 저장하는 분류체계는 무엇일까?

이러한 여러 궁금증을 안고 이분의 서재를 사진으로 따라가면서 인터뷰 형식으로 풀어나갑니다.

입이  벌이지는 수만 권의 책과 책을 정리하는 바인더를 베이스캠프 서재라고 합니다.

흡사 도서관 같은 모습의 베이스캠프 서재를 보자 대단하다는 생각만 듭니다.

그를 지지해 주는 가족들 또한 멋있다 생각했습니다.


서재의 모토 사람

[“ 사람을 가르치고 키우는 것은 1 명을 살리는 것과 같습니다교육을 바로 세우는 것은 나라를 살리는 길입니다저는  명의 학생을 컨설팅하는 일도, 1 명의 사람들을 앞에 두고 강의하는 일도 함께 합니다그런데 책을 쓰면 수만 명의 사람이 영향을 받을  있습니다.

 모든 것이 바로 제가 지식을 추구하는 목적입니다.”]

p.39


지구 역사상 가장  영향력을 끼친 인물 100  아돌프 히틀러가 포함돼 있었습니다.

[중학교 중퇴자인 히틀러는 과도한 독서로 자신의 지적 불안을 억누르고 살았다 합니다히틀러의 서재에는 16천여 권의 책이있었습니다.]

p.45


서재의 존재 목적이 중요한 이유

[독서는  자체가 모든 것을 완성시키는 것은 아니다독서를 통해 어떤 생각을 하고무엇을 낳느냐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P보여준 인물의 영향력 랭킹에는 마하트마 간디(17)보다 히틀러가  높은 랭킹을 차지하고 있다.] p.45

지식의 목적이 선하고 아름다워야 하며 잘못하면 어떤 사람에게는 독이  수도 있습니다.


독서법 크게 [폭넓은 독서-> 깊은 독서-> 높은 독서] 나뉩니다.

베이스캠프는 바로  높이를 통한 버드뷰를 이루기 위한 것입니다.

무언가 설명을 하기 위해서 표나 그림으로 정리하는 모습이 내용을 한눈에 알아볼  있어 독서방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됐습니다.

독서 영향력을 4단계로 나눠서 기록한 표에는 [좋은 독서탁월한 독서위대한 독서] 나누어 설명하고 있습니다나의 독서 단계가 어디쯤인지 체크해보고 위대한 독서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위대한 독서가 되어야 하는지 알려줍니다.

하루  권의  읽기를 목표로 20년간 책을 읽고  줄로 정리한 바인더가 축적되어 대학생을 멘토링 하면서 책을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해 주는 부분에서는 도움이  만한 구체적인 내용을 발췌해 필요한 사람에게 보내주는 부분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독서 편지를 받는 사람들은 정말 힘이 되고 행복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0년간 습관  신문 보기 방법은 7종의 신문을 사진으로 촬영하고 정리하는 방법이 나오는데  과정과 결과가 놀라울 따름입니다.

망망대해 책의 바다에서 무작정 배를 타고 가던 사람이  책으로 책의 방향과 목표를 가질  있었습니다.

20년간 하루 1권을 꾸준히 읽어도 8000 정도가 된다고 하는데

나는 20  얼마나 책을 읽고 얼마나 성장해 있게 될지 궁금해집니다.

책을 읽다 방향을 잃은  같을때    펼쳐서 읽어봐야겠습니다.






[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진솔하게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