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 자유에 이르는 길 - 김익한 교수의 읽고 쓰는 실천 인문학
김익한 지음 / 김영사 / 2025년 9월
평점 :
[도서협찬] "국가의 부가 국민의 행복을 보장하지 않는다."
자본주의 시대가 되면서 GDP나 연봉, 자산 등
타인과의 비교를 위한 기준에 목매고 있어요.
유엔개발계획에서 제시한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 HDI)는 실제 사람들이 삶에서 선택할수 있는 '자유의 크기'를 보여준다지만,
사실 이 지수의 존재감이 미미합니다 😢
어릴적 착한 모범생을 강요하던 사회의 풍토는
우리 자신을 가두는 내면의 족쇄가 되어 어른이 된 지금까지도 우리를 가두고 있어요.
🔖
기록은 억압적인 언어를 그대로 받아 적는 행위가 아니다. 오히려 내가 속한 세계의 틈을 발견하고, 그 틈에서 다시 숨 쉬려는 시도다. p.124
🚫
'나' 자신 그대로를 보지못하고
매사에 남의 시선, 남의 기준을 통해 자신을 봐야만하니,
이 시대는 그야말로 '자유의 박탈시대'에요.
✒️
그럴수록 김익한 교수는 '기록'을 통해
지금 우리의 삶을 가시화 시켜 마주하도록 하고,
자유를 위한 틈을 찾아 주체적으로 살라고 알려줘요.
📗
『철학, 자유에 이르는 길』 이란 제목만 보면
철학 얘기일 것 같아 덜컥 겁났지만,
생각보다 쉽게 읽히고
제 삶을 변화시키겠다는 의지를 키워주었어요.
🔖
여기서 '기록'은 목표 달성 여부를 체크하는 도구가 아니다. 그 과정에서 일어난 내면의 변화, 예상치 못한 깨달음, 타인과의 교감에서 비롯된 작은 울림을 담는 그릇이다. p.97
🔍
이 사회에서는 우리가 읽은 자유가 너무 많더라구요.
✔️
표현의 자유, 어른의 자유, 자기돌봄의 자유, 성장의 자유, 관계의 자유, 행동의 자유, 돈으로부터의 자유, 생각의 자유,
그리고 '나'로 존재하는 자유 도요.
✨️
자유를 향한 길은 가까이 있었어요.
그 길을 찾고싶다면
실천북에 따라 하나씩 조금씩 기록해보면 되요.
그럼 이 삶의 틈새가 보이고
스스로를 가둔 외부의 조건들이 선명해질 거에요.
그때 우린 한 발짝씩 선 밖으로 벗어나
자유를 내것으로 만들 수 있어요.
🫧 자유는 타인이 아닌, 우리가 만들어가는 거에요.
🫧 펜과 종이를 듭시다. 자유를 위해!
-------------------------------------
🫧 책 속 울림을 나누는 울림zzzz입니다
🫧 이 울림이 오래 이어지기를.... @uz_zzzz
-------------------------------------
🫧 좋은 책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 책은 김영사 @gimmyoung 에서 모집한 서평단에 뽑혀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서평입니다.
#철학자유에이르는길 #김익한 #김영사 #기록지침서 #자유론 #기록하기 #다이어리쓰기 #실천적성찰워크북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서평 #리뷰 #아이캔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