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만의 기통찬 자기주도학습법 ㅣ 입학사정관제의 정석
송태인 지음 / 미디어숲 / 2010년 6월
평점 :
자기 주도 학습은 알겠는데 입학사정관제가 뭐지? 이 책을 처음 보며 든 생각이었다.
기존교육이 결과에 치우쳐 학생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잠재역량을 발굴하지 못한다는 지적으로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동기와 과정의 정서적 요소를 입시에서 평가한다는 말이다. 자기주도 학습이 학습의 방법과 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것이라면, 입학 사정관제는 인재의 기준과 평가 방식을 선진화하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나만의 기통찬 공부동기를 찾고, 자신에게 맞는 공부방법을 개발하여 공부 습관을 다져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해 입학사정관제를 준비하라고 하고 있다. 그리고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대학에 합격한 학생들의 수기를 모아 학생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준비하고 성공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내용이 자세히 들어있다. 자신이 원하는 대학이 있는 학생들은 도움이 될 것 같다. 문제는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고 있는 학생들이 더 많다는 것이다.
혹시나 했지만...
역시 공부의 비법은 없는 것 같다.
제일 중요한건 나만의 동기...
내가 어떤 사람인지, 무엇을 잘하는지 무엇을 좋아하고, 하고 싶은지에 대한 자기이해가 선행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다각도로... 장점과 약점, 그리고 미래의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배포도 있어야 한다.
청소년들을 자주 만나다 보니 아이들이 자신에 대해 너무 잘 모르고 있다고 느껴진다. 공부하는 것과 성적은 중요하게 생각하면서도 자신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다.
자신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자신이 얼마나 무한한 가능성이 있는 존재인지...
이미 늦었다는 주위 사람들의 말을 듣고 얼마나 빨리 포기해버리는지...
청소년뿐만 아니라 누구나 꿈을 꾸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꿈은 우리가 살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아닌가 싶다. 만일 우리에게 꿈이 없다면... 무슨 낙으로 살수 있을까? 기쁨이 없지 않을까?
내가 세상에 태어나 무엇을 하며 살고 싶은지....늘 생각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교육은 사람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존재해야 한다. 그러므로 아이들이 학교에서 교육을 통해서 새로운 것을 깨닫고 배우기도 하지만 자신이 할 수 있고, 노력하면 된다는 경험을 할 수 있는 좋은 배움의 장이 되었으면 하는 게 개인적인 바램이다.
이 책은 자신이 세상의 주인공이라는 자존감을 일깨우는 참다운 공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참다운 공부... 배우는 것과 생활하는 것의 차이가 나는 교육과 공부가 아니라...
배우고 생활하는 것이 같은 공부, 아는 것과 생활하는 것이 같은 공부.
입학사정관제의 핵심은 잠재력, 인성, 리더십, 창의성등 계량화 할 수 없는 요소까지 확대해 인재의 기준을 획기적으로 바꾸는 새로운 평가 방식이라고 한다. 모든 제도에는 강점과 약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좀더 나은 교육과 발전을 위해서 점점 더 성숙해질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p21
내가 정말 하고 싶은 공부, 내가 정말 평생을 놓고 보았을 때도 여러모로 쓸모가 있을만한 공부, 내 시험점수가 아닌 나 자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공부에 주력하고 싶었다.
우리의 아이들, 청소년들이 모두 자신이 정말 하고 싶은 공부를 하며 살았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하다. 아자, 아자,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