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 자신을 사랑하라 - 그러면 누구와 결혼하든 상관없다
에바 마리아 추어호르스트 지음, 김인순 옮김 / 눈과마음(스쿨타운)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책을 받아들자 마자 목차를  읽으며 길에서 하하 웃었다. ㅋㅋ

"사랑에 빠짐과 동시에 왕자는 개구리로 변한다 " *^^*

 

글고 이어지는 명문장들...

애초에 그릇된 이유로 내가 결혼하였으며, 치유되고 싶어서 결혼을 했다는 말...

진실로 자유로워지려면....아이들이 부모를 치유하며 나의 치유는 내가 물려줄수

있는 진정한 유산이다. 내 숙제를 하지 않으면 숙제가 나를 만들어 간다는 말...

 

자신을 사랑하면 누~구~와 결혼하든 상관없다는 제목이 나를 매료시켰었다. 기대이상으로 내용이

충실하고 만족스러웠던건 저자의 삶과 배우자 관계를 오랬동안 상담했던 경험이 바탕이 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저자는 이 책에서 우리가 누구와 결혼하든 상관없으며 자신을 만나고 자신안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이야기하며 인간관계에서 빚어지는 갈등은 우리자신을 치유하라는 요구라고 한다.

 

파트너와의 관계를 유지하려면 스스로 솔직하게 속을 들여다보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법을 배

워야하며 있는 그대로의 그를 사랑하라고 한다.

 

여기에서 어려운 점이 있는 그대로의 그를 사랑하려면 먼저 있는 그대로의 나를 사랑할수 있어야

하는데 그 해결책으로 배우자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곳에서 자신을 봐야하며, 빙산아래 무의식 

즉,   자신의 내면을 봐야 한다고 한다.

 

여기에서 저자는 "우리가 스스로를 사랑하지 않으면 다른 사람도 우리를 사랑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리고 자신이 거부하는 배우자의 모습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용기와 솔직함이 필요하며,  무의식을

의식화 시켜서 '밖'에 있다고 믿는 것을 '안'에서 감지하여 되찾아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모든 답이 내안에 이미 들어 있다고 한다. 우리의 잠재력, 생명력, 아직 베풀지 못한 사랑은~

원래 선한의도에서 생겨났다고 한다.

 





"부부관계"는 상대방의 다른점을 통해서 자신의 사랑하는 능력을 기르는 동시에 스스로의 풍성한   



 

마음을 더욱 깊이 체험하는 것이며 스스로에 대한 모든 책임을 받아들이고 가능한 진실하게 상대방

을 만나는 것을 의미하며 있는 그대로의 나, 우리가 되어 서로를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한다고 이야

기 한다.
  


대화를 나눌때, '상대방이 나를 어떻게 대해주길 원하는가'하는 물음을 통해 우리가 배우자를 어떻

게 대할 것인지 말해주며, 이 물음에 대한 답변은 우리의 대화를 활성화시켜 치유에 이르게하는 첫

걸음이라고  한다.

 

남편이 나를 어떻게 대해주길 바라는지에 대해 스스로에게 물었다. 돌아온 답은 나를 인정해주고

존중해주며 배려해주고 칭찬해주는 것이었다. 마찬가지로 내가 남편을 인정해주고, 존중해주며, 배

려해주고 칭찬해주면 우리의 대화는 활성화되어 치유의 길로 들어설수 있다고 생각한다.

 

글고 있는 그대로의 나를 사랑하고~

있는 그대로의 그를 봐주며 사랑하는것!!!

 

내안에 선한 의도에서 생겨난 잠재력과 생명력, 사랑이 그 의도대로 쓰여질수 있다고 믿는 믿음과

동이 오늘의 우리가족, 가정을 살릴수 있는 길이 아닌가 싶다. 글고 우리주변의 가정들에게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