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복서간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41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선영 옮김 / 비채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나토 가나에의 글은 인상적이다. 재미있다고 표현하기는 좀 그렇고, 사람을 끌어들이는 스타일이다. 미나토 가나에의 글을 읽다보면 감정적(혹은 이성적) 동요가 느껴지는데, 그건 "아빠가 좋아 엄마가 좋아?"라는 느낌의, 뭐라 단정적으로 말할 수 없는 질문이 소설에 깔려 있기 때문인 것 같다.

 

  <왕복서간>의 뒷표지에 실린 글도 느낌이 비슷하다.

 

  스무해 전 어느 가을날, 남편과 제자가 강물에 빠졌습니다.

  남편은 수영을 못 합니다. 제자는 고작 열 살이었습니다.

  생채기 가득한 소풍의 추억......

  "그 때 나는 누구를 살려야 했을까요?"'

 

  뭐라고 선뜻 대답하기가 꺼려진다. 정말, 누구를 구해야 했을까?

 

  책을 처음 펼쳤을 때는 위의 이야기가 책 한 권 전체를 차지하고 있다 생각했는데, 실제로는 세 편의 단편으로 되어 있다. 각각 "십년 뒤의 졸업문집", "이십년 뒤의 숙제", "십오년 뒤의 보충수업"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다. 제목처럼, 십 년 전 같은 동아리 멤버였던 두 명이 결혼한 것을 계기로 같은 멤버였던 아이들이 실종된 동창생에 대해 편지를 주고받는 이야기, 학교 선생님이 은퇴한 뒤 이십년 전의 사고를 목격한 아이 여섯이 잘 사는지 살펴봐달라고 다른 제자에게 부탁하여 그 경과를 편지로 받아보는 이야기, 남자 쪽의 해외자원봉사로 장거리 연애를 하게 된 연인들이 편지를 주고받으며 이전에 묻어둔 사건을 기억해내는 이야기이다.

 

  세 단편은 배경을 공유하고 있지는 않지만, "편지"와 "숨겨진 속사정"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 한 권으로 묶어내기에 부족함이 없다. 주고받은 편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별 것 아닌 이야기 속에도 다른 의미가 있지 않을까 (본질적으로 상대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이야기만 적혀 있기 때문에) 생각하고, 추리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서간체는 상당히 매력적인 기법이고, 미나토 가나에는 그 매력을 한껏 살려서 몰입도 있는 이야기들을 만들어냈다.

 

  다만 숨겨진 이야기 혹은 반전을 추측하기는 그다지 어렵지 않다. 결말을 알면서도 중간을 짜맞춰가는 것이 이 글의 묘미이다(같은 사건이어도 각자 보는 시각이 다르고 각자가 받아들이는 의미가 다르다).

 

  미나토 가나에의 이전작에서 느껴지던 끈적끈적한 감정은 <왕복서간>에서는 다소 사그라져 있다. 그러나 그건 글의 스타일이 완전히 변했다기보다는, 사람들이 받아들이기 좋게끔 불씨를 재로 한 겹 덮어놓았다는 느낌이다. "십년 뒤의 졸업문집" 같은 경우에는 살짝 얼버무려놓은 것처럼도 보인다. 그리고 "십년 뒤의 졸업문집"을 제외한 두 편의 단편을 생각해보면, 묘하게 피해자(피해자와 가해자를 나누기엔 모호하지만, 일단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십년 뒤의 숙제"에서 선생님의 편지에서 느껴지는 감정은 흐릿하다. 책의 뒤표지에서 언뜻 느껴지는 그 갈등은 사실 "이십년 뒤의 숙제"에서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 사고를 목격한 학생들이 그 사고를 어떻게 받아들였는지가 중점적으로 다루어지고, 그래서 선생님이 어떤 생각, 어떤 감정을 가졌는지는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십오년 뒤의 보충수업"에서는 십오년 이야기에 연루된 두 친구가 사망했기에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없다. 두 연인의 편지 속에서는 그러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만 있을 뿐이다. 그 추측이 사실일 수도 있지만, <왕복서간>에서 서간체라는 형식을 통해 같은 것을 보면서도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것은 얼마나 달라지는지 보여준 것을 생각해보면, 그들의 추측은 썩 믿기는 것이 아니다. 연인들은 해피엔딩을 맞이하였음을 암시하지만, 죽은 두 친구를 생각하면 저 좋을대로 해석한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왕복서간>은 하나같이 희망적으로 끝나지만, 이런 점들을 고려해보면 사실 희망적이지 않은 이야기일지도 모를 일이다. 오히려 숨겨놓은 그 이야기, 반쯤 드러나고 반쯤 덮여 있는 것 같은 그 이야기들에 끊임없이 신경이 쓰인다.

 

  미나토 가나에의 글을 읽을 때면 묘하게 히가시노 게이고가 생각난다. 글을 쓰는 스타일은 많이 다르지만, 재미있지만 왠지 좋아할 수는 없는 그 분위기가 비슷하다. 예, 아니오로 대답할 수 없는 것들을 대답해보라고 질문하는 것 같아서 그럴까.

 

 

 

2012. 6. 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