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스트 그렌스 형사 시리즈
안데슈 루슬룬드.버리에 헬스트럼 지음, 이승재 옮김 / 검은숲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스트>를 읽기 전, 이 소설에 대해 가지고 있던 이미지는 복수극이었다. 사랑하는 딸을 연쇄강간살인범에게 잃은 아버지가 연쇄강간살인범을 살해하는, 그런 복수극. 몇 년 전에 개봉한 영화 <테이큰>의 이미지가 조금 개입했을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프레데리크의 행동은 단순히 마리를 죽인 놈에 대한 개인적 복수가 아닌, 사회 구성원이 사회를 위해 행한 '위험요소 제거 작업'에 가까웠다.

  책을 다 읽은 지금, 뭐라고 이 책을 설명해야 할지 모르겠다. 신문기자와 전직 범죄자라는 조합은 굉장히 실감나는, 바로 옆에서 벌어졌다고 해도 믿을 것 같은, 그래서 마치 현실처럼 무엇이 옳고 어떻게 행동해야 했는지 판단하기 까다로운, 그런 괴물같은 작품을 만들어냈다. 그래서인지 읽으면서 계속 가슴이 먹먹했다.

   <비스트>가 괴물같은 이유는 어떤 생각 하나를 쉽게 편들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 소설의 마지막을 보고도, 단순하게 '성범죄자는 모두 죽여야 한다'라고 말할 수 있을까? 이 소설을 읽으면서 '그래도 모든 생명은 소중해. 사람 몇을 죽인 범죄자라고 해도.'라고 초지일관 말할 수 있을까? 한 가지 사항은 명확하다. 룬드는 개자식이다. 짐승이고, 짐승은 바뀌지 않는다. 그는 아주 위험하다. 그러나 그를 둘러싼 사회는 그렇게 단순하지가 않다.

  개인적으로 절묘하다고 생각한 부분. 극중에 등장하는 유능한 변호사는 프레데리크의 정당방위와 무죄방면를 주장하기 전에 룬드와 같은 급으로 논 아동성폭행범의 형량을 고작 1~2년으로 줄이는데 큰 역할을 했다. 이런 식으로 모순된, 아이러니한, 그런 상황과 인물이 끝없이 이어진다.

  <비스트>는 '프레데리크가 룬드를 살해'하는 부분보다 그 일의 앞과 그 일의 뒤를 더욱 치밀하게 보여준다. 연쇄강간살인범을 피해자 아버지가 살해했다는 사건이 한 가지 사건으로 단순히 끝나지 않고 수없이 많은 여파를 사회에 미치는 모습이 고스란히 보인다. 그 여파의 어디에나 장점과 단점이 공존하고,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어떻게 할지 판단하는 일은 아주 까다롭다. <비스트>가 보여주려는 건 어떤 개인이나 사건이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전체 사회인 듯 하다. 그리고 이제 범죄자를 어떻게 할 것인지, 다시 한 번 제대로 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지 않겠냐는 제안을 하는 듯 하다.

  최근에 읽은 책 중에서 가장 묵직한 내용을 가진 소설이었다. 그런데도 읽기가 버겁지 않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 손을 떼지 못하고 보게 된다. 한 번 잡고 끝까지 읽어버렸다. 비스트에서 이어지는 시리즈가 몇 권 더 있다고 하는데, 얼른 한국어로 번역되어 들어왔으면 좋겠다.

 

  덧붙임.

  역자의 말을 읽고 기분이 상했다. 편집자와의 상의 끝에 반복되는 잔인한 묘사와 강한 욕설을 잘라냈다고 한다. 어쩐지, 이상하게 묘사가 있을 것 같은 부분에 묘사가 없더라. 그런 부분을 삭제했기에 불편한 기분은 확실히 덜했겠지만(하기야 그런 묘사를 읽지 않아도 충분히 상황은 '엿같아'보인다), 작가가 의도한 게 바로 그 불편한 기분은 아니었을까. 

 

2011. 9. 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