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도쿠 살인 사건 ㅣ 스도쿠 미스터리 1
셸리 프레이돈트 지음, 조영학 옮김 / 밀리언하우스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천재 여수학자 + 퍼즐 + 수학 + 지적인 미스터리라는 말에 혹해서 두근두근하며 펼쳐본 책.
그런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코지 미스터리라서 좀 당황했다.
* 코지 미스터리 Cozy Mystery
: 복선이나 암시를 찾아 헤매는 일 없이 편안하게 읽을 수 있는 추리.
배경은 주로 한적한 시골마을이 많다.
끔찍한 살인사건보다 평범한 살인사건에 주변인물의 캐릭터, 로맨스와 인생관, 가치관, 감정 등을 강조한다.
(네이버 검색 참고^^)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싱크탱크에서 일하는 수학자 케이트는 고향 그린빌에서 자신을 도와달라는 애번데일 교수의 연락을 받고 귀향한다. 애번데일 교수의 퍼즐박물관은 빚더미에 올라앉아 있고, 퍼즐 박물관을 중심으로 한 땅에 대규모 쇼핑몰이 들어설 계획이 있어 마을은 뒤숭숭하다. 애번데일 교수의 제자 해리는 실종된 상태고, 케이트는 익명의 협박 편지를 받는다. 며칠 후 애번데일 교수가 칼에 찔려 사망하고, 교수의 책상에는 어쩐지 미심쩍은 풀다 만 스도쿠 퍼즐 종이가 놓여 있다. 교수의 전화를 받고 온 케이트는 제 1발견자이자 용의자가 된다. 케이트는 퍼즐박물관을 지키고 애번데일 교수를 살해한 범인을 찾을 수 있을까?
생각한 것과 달리, 수학 용어는 나오지만 사건과 관계된 것은 아니고, 수학천재라는 건 그냥 설정일 뿐이다. 케이트를 보자면 '어디가 수학천재지?'하는 의문이 든다. 천재라서 겪었던 어린 시절의 왕따와 애번데일 교수와의 동질감 같은 부분은 스토리에 영향을 미치지만, 사건 해결하는 걸 보면 케이트는 그냥 일반인과 다를 바가 없다.
이건 미스터리를 조금 식상하게 만든다. 케이트가 두뇌를 이용해서 해결하는 게 별로 없기 때문이다. 중요한 단서는 해리가 물고 오고, 케이트 없이도 미쉘 서장은 수사를 착착 진행한다. 케이트가 없었어도 결국 살인범은 잡히고 사건은 해결되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그래서 탐정으로서의 케이트의 존재의의가 희미하다. 그리고 남겨진 스도쿠는 의외로 활약을 하지 못한다.
해결된 방식도 좀 얼렁뚱땅인 것 같다. 우연의 우연의 우연? 그러나 제시된 미스터리 자체는 초반부를 두근거리며 보게 했다.
1. 사라진 배서수표의 행방은?
2. 해리는 어디로 갔을까?
3. 협박 편지를 보내온 사람은?
4. 애번데일 교수를 살해한 사람은?
5. 애번데일 교수 유서의 행방은?
이런 것들이 한데 합쳐져서 대체 뭘까 누굴까 두근두근하게 했다.
미스터리로는 아쉬운 구석이 많지만 이야기는 재미있다. 시골마을 그랑빌에 대한 묘사가 생생하고, 그 곳에 사는 개성 넘치는 사람들의 모습이 매력적이고 유쾌하다. 개인적으로 프루던스 고모의 캐릭터가 참 강렬했다. 아, 갭스 할머니들도. 그랑빌 사람들은 다들 나름대로 좋은 사람들이지만 외부 사람에게 보이는 특유의 폐쇄성이 답답하기도 하다. 특히 신임경찰서장인 미쉘을 대하는 태도를 보면 '저래도 괜찮은 건가' 싶은 생각이 든다. 그러나 또, 돌아온 케이트를 반기는 모습들을 보면 무척 친근하다. 시골마을의 폐쇄성은 두렵지만 그 마을 속 사람들은 무척 든든할 거 같기도 하다는 생각을 했다. 실제로 케이트는 그 마을 출신이기 때문에, 용의자였고 제 1목격자였지만 좀 구경당한 것을 빼고는 별다른 곤욕스런 일을 겪지 않았다. 도리어 미쉘 서장이 욕을 먹었지. "범인이 우리 마을 사람일 리 없어!" 하고.
사람들이 보이는 나름의 인간관계도 재미있지만 그 외에 케이트와 미쉘 서장 사이에 흐르는 로맨스의 기운이나 해리와 케이트가 가지는 동료애는 흥미롭다. 미스터리가 아니라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이야기이다. 사실 코지 미스터리라는 것을 알고 읽었다면 실망없이 훨씬 즐겁게 읽을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거대한 미스터리와 거대한 두뇌싸움은 없지만 시골 마을 사람들의 감성과 일상을 훔쳐보는 듯한 나름의 즐거움이 있다.
2011. 8.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