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릴레오의 고뇌 탐정 갈릴레오 시리즈 5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억관 옮김 / 재인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별 세 개 하고 반 정도. 네 개라고 하기에는 조금 못 미친다.
 
  <탐정 갈릴레오>를 보고 범인보다는 범행수법에 초점을 맞춘 것이 꽤 신선하고 재미있어서 갈릴레오 시리즈를 다 읽어볼까 생각했다. 중간의 세 권(예지몽, 용의자 X의 헌신, 성녀의 구제)는 모두 장편이라서 <갈릴레오의 고뇌> 쪽을 먼저 읽어보기로 했다.
 
  나는 시리즈물을 아주 좋아하지만, 대부분의 시리즈는 뒤로 갈수록 어쩔 수 없이 힘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 같다. <갈릴레오의 고뇌>를 보면서도 그런 생각을 했다.
 
  <갈릴레오의 고뇌>는 <탐정 갈릴레오>와 맥락을 같이한다. 범인보다도 범행수법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 책에 수록된 다섯 편의 단편은 신선함이 상당히 무뎌졌다. 다섯 편의 단편에서 기이한 범행수법이 등장한 것은 두 편 정도. 나머지 두 편은 별로 신비스럽고 이상한 일이라는 느낌이 안 드는 설정이었고, 한 편은 아예 과학적 증명이 나오지 않았다.
 
 
* 떨어지다
- 한 여성이 자택 아파트 베란다에서 떨어져서 사망한다. 그러나 자살이라고 하기에는 석연찮은 정황증거들이 보인다. 여형사 가오루는 여성이 타살되었으며 그 용의자가 아파트 아래에서 여성이 떨어지는 것을 목격한 남자라고 생각하는데...... 이런 범행은 가능할까?
: 유가와가 '나는 이제 경찰에 협조 안 해.'라고 말해서 어리둥절해졌던 편. 이전의 3개 장편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던 걸까?
  가오루는 살인사건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지만 내가 보기엔 그다지 타살의 냄새가 풍기지 않아서 과학 실험에도 별 흥미를 못 느꼈던 건이다. 결말은 괜찮았다.
 
 
* 조준하다
- 유가와의 은사가 학생들을 초대한 밤. 은사의 아들이 별관에서 칼에 찔린 뒤 불에 타 숨진다. 한 눈에 보기에도 타살임이 분명하지만 흉기로 추정되는 일본도를 가진 인물이 나오지 않는다. 유가와는 사건 정황에서 석연찮음을 느끼고 어떤 실험을 해보는데.......
: 범인이 저 사람 같은데, 저 사람이 어떻게 그 범죄를 저질렀지? 하는 의문에 후딱후딱 읽어버린 단편. <갈릴레오의 고뇌>에 실린 다섯 편 중에서 가장 재미있었다. 더불어 유가와라는 사람에 대해서도 잘 드러나는 단편인 듯 하다. 확실히 유가와에게는 유가와의 정의가 있다. 범행수법도 "그런 게 가능하단 말인가~" 싶어서 좋았다.
 
 
* 잠그다
- 친구의 요청으로 친구의 펜션에 초대받은 유가와. 친구는 저번에 계곡에서 자살한 손님을 찾아 방에 들어갔을 때, 빈 방이 밀실이 되어있는 걸 목격했다. 친구는 밀실의 수수께끼를 풀어달라고 유가와에게 요청하지만, 유가와의 질문에는 뜨뜻미지근한 반응을 보이는데.......
: 밀실에서 시체가 발견된 것도 아닌데 왜 그렇게 밀실에 집착할까? 싶었던 단편. 사용한 수법은 재미있었지만, 별로 임팩트가 있진 않았다. 애초에 수수께끼 자체에 별 흥미를 느끼지 못해서;;
 
 
* 가리키다
- 노부인의 집에서 금괴가 도난당하고 개가 실종되는 사건이 일어난다. 용의자로 지목받은 40대 여성의 딸은 다우징으로 개의 사체를 찾아낸다. 다우징으로 무언가를 찾는다는 게 가능할까?
: 과학적 실험이라기보다는 유도심문의 승리. 개가 불쌍했다.
 
 
* 교란하다
- 경찰청에 익명의 편지가 도착한다. 자칭 '악마의 손'이라는 그는 자신이 살인을 저지를 것이며 경찰은 그것을 사고사로 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도발하며, 필요하다면 유가와에게 비밀을 풀라고 요청하라고 말한다. 그리고 '악마의 손'이라는 자의 말대로 사고로 보이지만, '악마의 손'이 미리 예고해놓았던 범죄가 두 건 일어난다. 사람들은 혼란에 빠지는데.......
: <탐정 갈릴레오>에 나왔던 '폭발하다'와 느낌이 비슷했다. 남탓 쩌는 사람은 정말 싫다. 그와는 별개로 수법이 뭘까 궁금했다. 숙련공을 빌딩창에서 떨어지게 만들고, 차를 갑자기 지그재그로 움직이게 만든 수법은??
 
 
  전체적으로 <탐정 갈릴레오>보다 스토리도 사람도 많이 유해진 느낌이다. 이걸 알기 위해서는 중간 시리즈를 읽어봐야 할 것 같다. 아예 시리즈 순서대로 읽을 걸 그랬다고 약간 후회된다.
 
 
  히가시노 게이고는 글을 못 쓰는 건 아니다. 잘 쓴다. 그런데 히가시노 게이고의 글을 읽자면 어딘가 불편해진다. 이번 소설에서도 그랬다. 같은 말을 해도 미묘하게, 정말 미묘하게 느낌이 이상하다. 예를 들어 이번에 가장 나를 찜찜하게 만들었던 건, 여형사 가오루 씨의 똑부러진 말이었다.
  "가까이 있으면 더 자주 전화를 하게 되는 법이죠. 여자란 그런 동물이거든요."
  딱히 틀린 말이 아닌데, 가오루씨의 대사는 미묘하게 불쾌하다. 몇 번이고 뚫어져라 보다가 이 부분이 단순한 사실을 말하는 게 아니라, 어떠한 가치판단이 들어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단정적인, 예외가 없는, 어떤 닫힌 사고방식 말이다.
  한마디로 '잘난척쟁이'라고 하면 될까.
  히가시노 게이고의 책은 재미는 있는데, 확실히 나와는 맞지 않는다. 
   


 
2011. 6. 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