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탐정 갈릴레오 ㅣ 탐정 갈릴레오 시리즈 1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억관 옮김 / 재인 / 2008년 6월
평점 :
나는 맨 처음 이 제목을 보고 그 유명한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탐정으로 나오는 팩션 소설인가 하는 생각을 했다. 그 때 나는 히가시노 게이고는 아웃 오브 안중이었기 때문에 제목 이외의 것을 살펴볼 생각도 하지 않았다. <둘 중 누군가 그녀를 죽였다>로 히가시노 게이고에게 관심을 가지고 그의 책을 슬슬 읽어보다가 이 책에 다다랐다. 그런데 주인공은 갈릴레오 갈릴레오가 아니고 그냥 일본 태생 천재 물리학자. 책을 다 읽고 나서 주변정보를 찾아보다가 <용의자 X의 헌신>에 나오는 탐정이 여기 나오는 탐정이라는 것을 알았다.
갈릴레오 시리즈는 단편집 2 + 장편 3이 현재 번역 출간되어 있다. 이 책은 갈릴레오 시리즈가 시작하는 책이고, 단편추리소설을 다섯 편 모아놓은 책이다.
범인보다 범행수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게 독특하다면 독특하다. 주인공인 탐정은 물리학 조교수인 유가와 마나부이고, 그에게 사건을 물어다주는 사람은 형사인 구사나기다. 유가와의 성격이나 구사나기 움직임이나, 조금쯤 전형적인 홈즈/왓슨 콤비. 처음에는 데면데면한 동창생인가... 싶었는데 점점 둘이 절친 분위기로 변해가서 읽으면서 좀 놀랐다.
범행수법에 초점을 맞춰서 그런지, 아니면 단편집이라서 그런지 히가시노 게이고 특융의 뱃속 불편하게 하는 인간의 추한 본성이 별로 두드러지지 않았다(아예 안 나오는 건 아니고...). 나는 그래서 좋았지만 그것 때문에 히가시노 게이고를 좋아하는 사람은 좀 뜨뜻미지근하다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다.
* 타오르다
- 폭주족이 옹기종기 담소를 나누던 중 갑자기 한 명의 머리가 불타오르고 그가 쓰러지자 불길이 치솟았다. 폭발의 원인은 자판기 옆 석유통으로 밝혀졌지만 불씨가 될 만한 것이 없는 상태. 형사들은 당황하고 구사나기는 물리학 조교수인 친구 유가와를 찾아가는데......
: 단서는 아이가 본 '붉은 실'. 실이 나왔을 때 대충 범행수법을 떠올려서 굉장하다 놀라지는 않았다. 바뀐 집 이야기는 조금 놀랐다. 생각해보면 몇 가지 단서가 있긴 했는데.
* 옮겨 붙다
- 중학교 아이들이 호수에서 주운 알루미늄 판으로 만든 데스마스크. 그 마스크는 실종자의 얼굴과 똑같았다. 호수를 뒤지자 과연 시체가 발견된다. 하지만 용의자에게는 철벽의 알리바이가 있는데.......
: 벼락과 알루미늄 판과 충격파가 합작으로 만든 데드마스크. 벼락이 친 날을 단서로 범인을 잡는다. 공범이 있었고 실제 살해일은 증언과 달랐다. 상황이 계속 바뀌어서 끝까지 흥미진진했던 단편이다.
* 썩다
- 가슴에 지름 10cm 정도의 세포가 완전히 괴사한 수상한 시체. 이게 살인인가 심장마비에 의한 자연사인가도 확실치 않다. 구사나기는 죽은 이의 주변을 탐문해보는데......
: 범인 시점 / 탐점 시점이 교하된다. 범인은 이미 밝혀졌으니 중요한 건 범행수법과 어떻게 진범을 추적해 가느냐 하는 것 뿐이다. 가해자나 피해자나 읽는 사람 찜찜하게 만드는 성품이라서 왜 죽였냐 보다는 대체 뭘 썼나가 더 궁금했다.
* 폭발하다
- 바닷가에서 원인불명의 거대한 폭발이 일어난다(노란 불꽃, 높이 솟은 물기둥). 그리고 구사나기의 관할에서는 머리를 얻어맞아 살해당한 시체가 발견되고, 시체의 모교가 유가와가 있는 대학이라는 것을 알아낸 구사나기가 대학을 방문한다.
: 대학 주차장을 찍은 사진 한 장과 폭발이 일어난 바닷가에 시체가 들렀었다는 증거인 영수증 한 장이 주요 단서. 사람 목숨보다 중요한 게 전공학문이라는 것을 알려준(이건 반어법입니다) 단편. 시체는 자살한 건가 싶었는데 그건 아니었다. 하기야 자기 뒷머리 내려쳐서 자살할 수 있는 능력자는 거의 없을 듯.
* 이탈하다
- 여자가 죽었다. 용의자는 그녀와 선을 봤고 사건 당일 방문 메시지도 남겼던 보험회사원. 그는 그 시각 강가에 차를 세워주고 잤다고 주장하고, 그의 알리바이를 증명한다면서 유체이탈 상태에서 그 차를 봤다 주장하는 아이와 아버지가 나타난다!
: 유체이탈의 원인이 뭘까 정말 궁금했다. 중요한 건 공장!
꽤 재미있다. 과학에 대해 잘 알면 더 흥미진진할 거 같다. 다음 시리즈도 읽을까 생각 중이다.
2011.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