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빨간 거짓말 - 카네기 메달 수상작 ㅣ 미래인 청소년 걸작선 10
제럴딘 머코크런 지음, 정회성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솔직히 말하자면 별은 2.5개 정도.
도서관 신간 코너에서 눈에 띄어서 빌렸다. 어째 너무 쉽게 읽힌다 했더니 청소년 도서였다.
어느 날 도서관에 체험학습을 간 에일사가 만난 MCC버크셔. 정체불명인 남자는 에일사를 따라 포비부인의 골동품점에 온다. 그는 물건에 얽힌 여러가지 신기한 얘기를 해 주며 물건을 팔거나 / 안 팔거나 한다. 물론 그 얘기는 지어낸 거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 이야기를 듣고 마음이 움직인다. 나는 이런 이야기 속 이야기 구조를 좋아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재미있게 읽었다.
그러나 이 책의 결말은 내가 받아들이기엔 너무 힘든 종류였다. (미리니름을 좋아하지 않는다면 뒤로 돌아가기를 추천합니다.)
.
.
.
책에서 결말은 아주 중요하다. 지금까지 들었던 이야기를 한번에 살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하는 게 결말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런데 <새빨간 거짓말>의 결말은 내가 납득할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나 있다.
이 책에서 가장 흥미로운 것은, 갑자기 툭 튀어나와서 군식구가 된 MCC버크셔의 정체다. 이 사람은 도서관에서 뭘 하던 사람일까? 혹시 책 속의 등장인물일까? 아니면 에일사의 아버지가 천국에서 부인과 아이의 고난을 지켜보다가 도와주려고 나타난 걸까? 아니면 책의 요정인가? 별별 생각을 다 했다. 이런 MCC버크셔의 정체가 책의 마지막에 밝혀진다.
MCC버크셔의 정체는 현실의 왕따 청소년으로, 에일사와 포비 부인 등을 창조한 작가다. 책의 마지막에서 에일사 등의 등장인물들은 MCC버크셔가 작가이며 자신들은 책 속의 인물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이 결말을 보고 나는 허탈했다. 아아... 드라마 <파리의 연인>에서 "당신들이 본 이야기는 사실 모두 작가의 꿈이었어요. 우훗."이라는 결말을 본 시청자의 기분이 이랬을까. 의미 없는 것에 마음을 줬다는 느낌은 참 찜찜하다. 그래서 이 글은 이 결말로 나에게 뭘 보여주려고 한 걸까? 잘 모르겠다.
책 속 이야기 중에서는 필기구함 / 장난감 병정 이야기가 좋았다. 침대 이야기가 제일 별로였다.
2011.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