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두의 악마 1 학생 아리스 시리즈
아리스가와 아리스 지음, 김선영 옮김 / 시공사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리스가와 아리스의 '학생 아리스' 시리즈 세 번째. 전작에서 일어난 사건들에 충격받은 아리마 마리아가 가출하고, 에이토 대학 추리소설 연구회 소속 네 명이 마리아의 아버지의 부탁을 받아 기사라 마을로 마리아를 데리러 간다. 폐쇄적인 기사라 마을에 에가미 부장만이 잠입에 성공하고, 아리스를 비롯한 두 명의 부원은 나쓰모리 마을에 남는다. 폭우가 내려 다리가 떠내려가고, 분리된 두 마을에서 동기가 희미한 살인사건이 각각 일어나는데.......
 
  <쌍두의 악마>는 이전과 달리 아리스의 시점만 있는 게 아니라, 아리스와 마리아의 시점이 번갈아 전개된다. 떨어진 두 곳에서 각각 살인사건이 발생했으니까 당연하다면 당연한 듯;; 평소처럼 명쾌한 논리를 보여주는 에가미 부장도 좋지만, <쌍두의 악마>의 묘미는 에가미 부장이 없는 상태에서 EMC의 부원들이 옥신각신하며 펼치는 추리라고 생각한다. 헛발질을 하면서 진상에 다가가는 모습이 좋다. 보기 드물기도 하고;;
 
  학생 아리스 시리즈에서는 대게 살인이 굉장히 늦은 지점에 발생한다. 전체 길이의 중간 정도쯤. 이건 아리스가와 아리스가 '설명하기' 보다는 '보여주기'를 택했기 때문인 것 같다. 사건이 일어나고 주변 사람들이 둘러앉아서 "넌 동기가 있었어!" "그러는 넌 어떻고. 요래저래 했잖아!" "자자, 표를 만들겠습니다." 이런 식으로 흘러가기보다는, 몇 가지 에피소드로 자연스럽게 얘와 쟤와 걔의 관계와 성격을 보여주고 넘어가는 방식이랄까. 좀처럼 살인사건이 일어나지 않는 지루함을 메우기 위해서, 서브플롯이 있다. <외딴 섬 퍼즐>에서는 "보물이 숨겨져 있는 곳을 찾을 수 있을 것인가?" 이고, <쌍두의 악마>에서는 "마리아는 기사라 마을을 떠나 집과 에이토 대학과 EMC로 돌아올 마음을 먹을 것인가?"이다. 등장인물의 캐릭터도 굉장히 강하다. 나는 그래서 좋은데, 다른 사람들은 사건이 일어나기 전까지 굉장히 지루할 수도 있겠다.
 
  어쨌든 이러저러한 사건을 거쳐 에가미 선배가 범인을 찾아냈다. 그걸 보면서 나는 깜짝 놀랐다. 초반에 나쓰모리 마을에 전해내려오는 전설을 듣는데, 그게 이런 식으로 이어지다니. <쌍두의 악마>에서 제일 인상에 남는 대사는 에가미 선배의 나지막한 "악마." 소리였다.
  자세한 얘기를 하려고 하면 추리소설의 경우 상당히 높은 확률로 스포일러가 되니까 이쯤해서 총총.
  길이가 긴데도 별 지루함 없이 단번에 읽었다. 거창한 트릭이 아닌, 사소하지만 중요한 단서에서 진행되는 범인찾기 논리가 EMC의 매력인 것 같다. EMC의 4번째 이야기인 <여왕국의 성>이 일본에서 출간되었다는데, 얼른 한국어판으로도 들어왔으면 좋겠다.
 
  별로 상관없는 이야기지만, 아리스가와 아리스의 글을 읽는 것을 잔뜩 미뤘던 이유가 전설을 보며 다시금 떠올랐다. <외딴 섬 퍼즐>과 <쌍두의 악마> 제목이 묘하게 합쳐져서 에도가와 란포의 <외딴섬 악마>와 착각을 불러일으켰던 것이다. 나는 에도가와 란포 스타일을 안 좋아한다 ㅠㅠ 기괴한 분위기 ㅠㅠ 이건 내가 호러를 싫어하기 때문이다;
 
  <기울어진 저택의 비밀(시마다 소지 作)>에 페르디낭 슈발의 '팔레 이데알'이야기가 나오는데, <쌍두의 악마>에서도 나와서 호기심이 일어 검색을 해 봤다. 사진의 구도가 다양하지 않아서, 공간지각능력이 둔한 나는 대체 전체 모습이 어떤지 알 수는 없지만, 일부분만으로도 눈이 땡글땡글해졌다. 가서 보고 싶다. 기괴하다기보다는 커다란 모래성 같은 느낌이다. 그리고 굉장하다. 여기저기서 언급하는 게 당연할 정도로. 
  
   


2011. 3. 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