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즈텍의 비밀
폴 크리스토퍼 지음, 민시현 외 옮김 / 중앙books(중앙북스) / 2009년 8월
평점 :
품절
나는 한 자리에서 감정을 주고받는 정적인 소설보다는 아무래도 사건도 좀 터지고 이리저리 뛰어다니고 고생도 좀 하는 소설이 취향이다. 그래서 모험 소설을 꽤 좋아한다.
<아즈텍의 비밀>. 제목에서 인디아나 존스가 떠오른다. 광고에서도 '21c의 인디아나 존스'라는 이야기가 있었고, 책 커버 뒤의 소개에서도 '인디아나 존스에 나오는 여주인공'이라는 부분이 있었고, 심지어 책 안에서 핀과 빌리가 인디아나 존스 운운하며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책의 내용은 인디아나 존스와 너무 달라서, 당황스러웠다.
<아즈텍의 비밀>의 줄거리는 아주 매혹적이다. 아즈텍의 보물이 있고, 그것을 찾아가는 보물 사냥꾼이 있고, 도중에 음모자들이 얽히고, 위기에 처하고...... 하지만 실제로 <아즈텍의 비밀>을 읽으면서 나는 아주 지루했다. 마치, 사건이 일어나는 배경 설명만 잔뜩 듣고 있는 느낌이었다(실제로 보물을 찾아 나서는 과정이 책 중반 이후에서 시작한다).
게다가 폴 크리스토퍼의 전작 <미켈란젤로 그림>이나 <루시퍼 복음>, 그리고 <렘브란트의 유령>을 읽어보지 않은 나로써는 누가 주인공인지도 짐작하기 어려웠다. 그 정도로 핀과 빌리의 등장 비중은 적었고, 등장인물은 너무나도 많았다. 마약왕, 함장, 거대제약회사의 사장, 비밀결사대, 정보거래상....... 그들은 열심히 배경에 대해 이야기를 해 줬으며, 작가는 성실하게 그들이 있는 장소에 대한 설명을 해 주었다. 이것이 섬세한 묘사라기보다는, 독자의 이해를 돋우려는 배려라기 보다는, 교수님의 지루한 강의라고 느꼈다면 내가 너무 나쁜 독자일까?(어라, 책 뒤의 작가약력을 보니 진짜 교수님이다;;)
내가 모험소설에서 원한 것은 모험이다. 제목처럼, 아즈텍의 보물과 얽힌 모험. 그러나 <아즈텍의 비밀>이 말하고 있는 것은 음모이고 보물은 중간에서 약간, 마지막에서 약간, 모습을 드러낼 뿐이다. 나도 있긴 있어, 라고 말하는 듯. 더구나 사건이 풀려나가는 방식이 너무나 작위적으로 느껴졌다. 그렇게 설명이 많았는데도 불구하고 사건의 진면목을 짐작할 만한 단서도 없었다. 무기가 저렇게 쉽게 해체되는 거던가? 보물이 저렇게 쉽게 발견되는 거던가? 세상에 안 쉬운 일이 하나도 없다.
제목에 얽힌 반전- 그리고 등장인물과 각자의 사연이 하나로 합쳐지는 시점은 매혹적이었다. 하지만, 솔직히, 나는 <아즈텍의 비밀>이 아주 불만스럽다. 양배추 샐러드가 메인요리로 나오고 새끼손가락만한 제육볶음밥이 전채로 곁들여진 코스 요리를 먹는 기분이다. 내가 보고 싶었던 장면, 모험 소설에서 기대했던 장면들은 모두 대수롭지 않은 한 문단으로 처리되었다.
만약에 <아즈텍의 비밀>에서 쓰인 소재가 시시했다면 나의 실망도 덜했을 거다. 하지만 소재가 너무 환상적이다. 그래서 더 아쉽다.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배웠다.
덧붙임.
1. 이 책이 시리즈물인 만큼, 전작을 읽지 않은 내가 제대로 맛을 음미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2. 개인적으로 이 책에서 가장 스펙터클했던 것은, 총알개미가 등장하는 장면이었다. 압도적이었다.
2009.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