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명왕성
권정현 지음 / 문이당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굿바이! 명왕성>은 이상한 책이다. 이 책을 읽고 나면 무엇이 사실이고 진실인지 머리가 혼란해진다. 회색의 세상이다.   

 

   <달빛 달밤>에서는 환상과 현실이 섞이고, <장마가 온다>에서는 게임과 현실이 겹쳐진다. <360>과 에서는 한 가지 사건이 여러 사람의 증언 속에서 여러 모습으로 바뀌어 나타난다. <호랑이 능선에서>는 분명 목격한 것을 계속 의심하게 만들어 환각인지 현실인지 구분할 수 없게 만들고, <충성! 계속 근무하겠음>은 군인과 인간의 경계선에 대해 논하고, <무지개가 떴다>는 고물이 된 차와, 치매가 걸린 노모와, 아들을 교묘하게 겹치게 나열하고, <수(繡)>는 모슬린에 수놓아지는 목어와 수를 놓는 ‘당신’의 모습을 혼재시킨다.  

 

   책을 읽고 나면 무엇이 진실이고 사실인지, 무엇을 믿어야 하는지 알 수가 없어진다. 그래서 다시 한 번 읽었다. 하지만 알 수 없다. 세상은 여전히 안개가 낀 것 마냥 흐릿히기만 하다.  

 

   생각해보면 명확한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그러나 우리의 머리는 세상을 조각조각 나뉘어져 인식하게 만들어져 있어서, 그 틈바구니는 못 보는 게 틀림없다. <굿바이! 명왕성>은 뚜렷하게 이상해 보이는 사람들(펠라티오 자판기를 찾아가는 동성애자, 환각통 혹은 신경증을 앓는 환자)과 겉보기엔 별반 다르지 않은 사람들(고양이를 쏜 군인들, 호랑이를 본 국어교사)을 같은 줄에 세워놓는다. 결국 나도 변두리에 있다. 그러나 작가는 그들은 이상하게 보지 않고, 오히려 그들을 중앙에 놓는다. 그들의 고민과 아픔, 이상함이 결코 차갑거나 더럽게 보이지 않도록.

 
 2009. 12. 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