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블 위의 카드 애거서 크리스티 추리문학 베스트 27
애거서 크리스티 지음, 김석환 옮김 / 해문출판사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곳에서 살인이 일어났다. 범인은 브릿지 게임을 하고 있던 네 명 중 한 명이지만, 누구도 살해되는 세이터나 씨를 목격하지 못했다. 다들 한 번씩은 자신의 자리를 떠났다. 범인은 누구일까? 밀실에서 일어난 범행만큼이나 범인을 짐작하기가 어렵다. 

 

  <테이블 위의 카드>는 몇 개의 범죄를 파헤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세이터나 씨가 '일류 범죄자'들을 모아놓았다는 소리를 한 모임에서 살해당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신의 범죄가 밝혀지기 두려워한 범인이 세이터나 씨를 살해했다는 추측이 가능하고, <테이블 위의 카드>는 이중 구조를 가진다. 세이터나 씨의 살해범을 잡기 위해서는 과거의 범죄 또한 캐내야 하는 것이다. 

 

  용의자는 네 명(로버츠 박사, 로리머 부인, 디스파드 소령, 앤 메리디스 양)이지만, 혐의가 고루 분산되는 것은 아니다. 두 명 정도로 압축되다가 다른 한 명이 범인으로 지적되다가 반전이 있어 진짜 범인이 밝혀진다. 게임처럼 느긋하게 흘러가는 초중반과는 달리 마지막은 호흡이 빠르다. 자칫 잘못하면 "어???"라는 생각이 든다. 힌트는 애르큘 포와로의 대사, "그렇지만 범죄의 유형이 같으리라는 점은 의심하지 않습니다. 사소한 부분에서는 다를 수 있겠죠. 하지만 그 밑바닥에 깔린 본질적인 점들은 같을 겁니다. 이상한 일이지만 범인들은 언제나 그런 경향을 가지고 있죠.(p.81)"을 되새기면서 읽는다면 그다지 당혹스럽지 않을 수도 있다. 

 

  <테이블 위의 카드>는 물리적인 단서보다는 심리적인 단서를 중시한다. 모두가 범행을 저지를 수 있는 상황에 있었으며 도구는 세이터나 씨의 집 안에 놓여있는 물건이기 때문에 사실상 물리적 단서는 거의 없다. 성격으로 범행을 짐작하다니 이상하지만, 그만큼 흥미진진하다. 마지막에 롤러코스터처럼 뒤집혔다 펴졌다 뒤집히는 반전도 그렇고. 

 

  읽는 내내 범인을 짐작하면서 즐거웠다. 내가 짚어낸 범인이 사실 진짜 범인이 아니었다는 게 좀 아쉽지만.


  덧붙임.

  내용과는 별개로 오싹한 대사가 있었다. 이건 내가 <누가 로저 애크로이드를 죽였는가?(피에르 바야르 지음, 여름언덕 펴냄)>를 읽었기 때문에 더 오싹했던 것 같지만. 그 순간은 범인보다도 애르큘 포와로가 더 무서웠다. 다음의 대사다.

  "문제는... 애르큘 포와로가 틀릴 수 있느냐 하는 겁니다. ...(중략)... 아닙니다. 나는 언제나 옳습니다. 그점이 나도 이상합니다만, 그런데 지금은 내가 틀렸는지도 모릅니다. ...(중략)... 그렇다면 내가 미쳤다는 말이 되는데, 미쳤을리가 없죠. 아닙니다. 내가 아무리 늙었다지만, 나는 미치지 않았습니다. 나는 옳습니다. 아니, 옳을 수밖에 없습니다.(p.244~p.245)"

 

  자신이 '옳을 수밖에 없다'니, 이처럼 무서운 말이 또 있을까?
 

 

2009. 11. 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