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주받은 자, 딜비쉬 - 딜비쉬 연대기 1, 이색작가총서 2
로저 젤라즈니 지음, 김상훈 옮김 / 너머 / 2005년 5월
평점 :
적당히 약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는 복잡다난한 시대기 때문일까. 항상 정도를 걸으면서 자신보다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소위'착한 사람'은 대체로 사람들에게 '바보같다'는 인상을 준다. 오지랖도 넓지, 너부터 잘해, 니가 있고 남이 있지, 이런 충고를 던지면서 불의를 봐도 적당히 외면하고 자기 유리한 쪽으로 일을 슬쩍 끌어당기라고 한다. 딴에는 안타까워서 하는 말이다. 착한 사람이 보답을 받는 것은 대체로 동화책에서나 나오는 얘기 아닌가.
<저주받은 자, 딜비쉬>는 사악한 마법사 젤레락에게 저주를 받고 백 년 가량이나 몸은 동상으로 영혼은 지옥으로 떨어졌다가, 다시 현실세계로 돌아온 기사 딜비쉬의 이야기다. 딜비쉬는 자신에게 저주를 건 젤레락에게 복수를 하기 위해서 악마말 블랙과 함께 떠난다. 11개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저주받은 자, 딜비쉬>에는 딜비쉬가 젤레락을 찾아서 떠나는 장면들로만 이루어져 있다(딜비쉬가 젤레락에게 복수하기 위해 둘이 맞닥뜨리는 장면은 딜비쉬 연대기 2편 '변화의 땅'에서 나오는 듯 하다).
딜비쉬는 이상한 사람이다. 이상적이라서 이상하다. 악마말인 블랙이 위험을 경고해도 그는 꼭 거기에 뛰어들고 위험을 겪는다. 그의 호기심은 일견 그를 멍청하게 보이게 만든다. 위험한데 왜 뛰어드는가? 딜비쉬에게 충고하는 블랙처럼 나도 그에게 그냥 좀 가던 길이나 가라고 말하고 싶은 충동에 휩싸이곤 한다. 하지만 딜비쉬는 꿋꿋하다. 젤레락이 산제물로 바치려 했던 아가씨를 구하려 뛰어들었다가 저주를 받았던 그 때처럼, 딜비쉬는 사방팔방에 뛰어들고 그로 인해 위험을 겪는다. 하지만 착한 일을 해도 그에 대한 대가는 받지 못한다(피해나 안 받으면 다행이다;). 그래도 딜비쉬는 자신의 행동을 후회하지 않고 계속 나아간다.
나야 재밌지만 이 사람 너무 고생한다. 왜 그는 이런 고생을 사서 할까? 이런 의문에 대답을 해 준 것이 '피의 정원'이다.
딜비쉬는 힘이 있다. 엘프 혈통을 가졌고 엘프 장화를 가졌고 능력있는 기사이기도 하며 무엇보다 큰 힘이 되는 악마말 블랙이 있다. 지옥에서 가져온 비장의 마법(?)도 몇 개 있다. 그러나 인간에서 벗어난 큰 힘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그는 마법사 젤레락에게 복수를 하러 가지만 실은 자신의 능력으로는 복수 못하고 젤레락에게 죽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알고 있다. 젤레락이 굳이 찾아와서 그를 위협하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그는 젤레락에게 복수를 하러 가고, 애꿎은 죽임을 당하려는 아가씨에게 뛰어들고, 사람들의 말을 귀기울여 듣고, 자신의 판단대로 행동한다. 자신의 정의를 위해서. 피하면 편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편한 길보다는 자신의 마음에 귀를 기울이는, 자신의 걸음이 늦어질 것을 알면서도 굳이 그 쪽에 가는, 그런 사람. 그러면서도 '정의를 위해'라거나 '세계를 위해'라는 거창한 말을 하지 않는다. 딜비쉬는 자신을 기억해준 포타로이 시를 위해 싸우고, 아가씨를 죽이는 것을 두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싸우고, 사악한 마법사이기 때문이 아니라 자신에게 저주를 했기 때문에 복수하려 한다. 말 그대로 자기 자신을 잣대로 가지고 다니는 사람이다. 그런 것치고는 묘하게 다른 사람 좋은 일을 하지만.
딜비쉬는 멋진 사람이다. 자신의 시각을 가지고 남의 말을 들을 줄 알고 무리한 일도 해야 된다고 생각하면 망설임없이 한다. 흠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 흠조차도 귀엽다. 하지만 딜비쉬와 함께 다니기 때문에 매번 사건에 휘말려 활약해야 하는, 조언을 해도 듣지 않는 딜비쉬 때문에 같이 고생하는 악마말 블랙은 가끔 처량해보인다. 블랙을 위해서도 딜비쉬가 적당히 해 줬으면 싶다. 잘 짜여진 세계관 속에서 굳건한 주인공이 가는 소소한 영웅담 <저주받은 자, 딜비쉬>을 읽다 보면 안 해도 되는 고생을 해서 멍청하게 보였던 딜비쉬가 어느 순간 멋진 딜비쉬로 보이는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덧붙임.
막 웃기거나, 막 손에 땀을 쥐게 하거나, 막 감동적이거나 하는 것은 없다. 전체적으로 건조한 느낌인데 읽고 나면 은은하게 남는다. 음, 그러니까 중세 기사 서사시를 보는 느낌이다.
2009. 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