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인 오스틴 북클럽
커렌 조이 파울러 지음, 한은경 옮김 / 민음사 / 2006년 2월
평점 :
절판


 [ 우리들 각자에게는 자신만의 오스틴이 있다. ]

  제인 오스틴의 소설을 읽은 것은 2007년 초의 일이다. 시작은 오만과 편견이었고, 센스 앤 센서빌리티를 영화로 봤으며, 엠마를 대충 읽었다. 거기에서 제인 오스틴에 대한 흥미가 끝났다. 그래도 <제인 오스틴 북클럽>을 집어든 것을 보면, 그녀의 인생이 꽤 강렬했던 모양이다.

  <제인 오스틴 북클럽>은 제인 오스틴이 남긴 6편의 글을 읽고 토론하는 모임을 다루고 있다. 다시 말해서 그녀의 소설 여섯 편을 숙지하지 않고 이 소설을 이해하기란 힘든 일이다. 소설이 뭘 쓰고 있는지도 헛갈린다. 토론이나 그들 사이의 교류가 아니라, 인물 각자를 온전히 파고들고 있기 때문이다. 조슬린, 실비아, 알레그라, 버나데트, 프루디, 그리그. 이들 여섯 명은 작가가 제인 오스틴의 6편의 소설을 변주해 만들어낸 인물들이다.

  "우리들 각자에게는 자신만의 오스틴이 있다."

  말 그대로다. 6명의 인물들 속에 6편의 소설이 있다.
  (누가 어떤 소설에 대응하는지는 차례를 보라.)

  제인 오스틴의 소설 6편을 다 읽지도 않았고, 완전히 파고들지도 않은 나는 즐기기 힘들었다. 읽으면서 반쯤은 아리송한 상태였으니까. 뒤에 있는 <독자를 위한 페이지>에 가서 제인 오스틴의 소설 줄거리를 읽고 나서야 비로소 이해가 됐다. 제인 오스틴의 팬이라면, 읽으면서 충분히 즐길 수 있겠다. 하지만 제인 오스틴을 잘 모르고, 그녀의 소설을 읽어보지 않았고, 소설 내의 상징이나 구조보다는 스토리 중심의 독서를 하는 사람이라면 피하는 게 좋을 것 같다. 그다지 재미가 없을 테니까.

  맨 뒤에 있는 제인 오스틴의 글에 대한 반응이 하나의 묘미다. 어쩜 평이 이렇게 극과 극을 달리는지. 실은 소설보다 뒤의 서평이 더 신나고 즐거웠다.
 

2008. 6. 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