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읽는 것을 좋아한다고 하면, 사람들은 꼭 "지금까지 읽은 책 중에서 가장 인상깊은 책이 뭔가요?"라고 묻는다. 그러면 난 주저없이 이 책을 꼽는다. 좋아해서? 그건 아닌 것 같다. 무딘 칼로 속을 후비고 난도질하는 내용을 좋아하는 취미는 없으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 책을 구입해서 곁에 끼고 있고, 때로 들춰보고 읽어본다.
<눈먼 자들의 도시>를 읽고 나면, 몸이 부들부들 떨린다. 무섭다. 나는 지금까지 이 책처럼 끔찍하게 무서운 내용을 만난 적이 없다.
작가가 제시한 상황은 어쩌면 흔하다. 도시에 눈이 멀어버리는 전염병이 돈다. 눈 먼 자와 접촉을 하면 그 사람도 눈이 먼다. 병을 막으려고 초기 감염자를 감금하지만 전염병은 도시 전체로 퍼진다. 그 가운데에서 딱 한 사람, 안과의사의 아내만 멀쩡히 눈을 뜨고 있다. 작가는 전염병으로 인해 사람들과 도시가 어떻게 변해가는지를 안과의사의 아내의 눈을 통해 천천히 보여준다.
<눈 먼 자들의 도시>의 특이한 점은 고유명사가 안 나온다는 사실이다. 등장인물은 이름이 없다. 배경이 되는 도시도 이름이 없다. 그래서 읽다보면 점점 더 섬뜩해진다. '특정한 소설속의 인물'이나 '특정한 소설 속의 배경'이 아니라 바로 내가 있는 곳, 나의 상황으로 읽히기 때문이다. 글을 읽다 보면 어느 순간에 <눈 먼 자들의 도시>의 배경은 대한민국 서울로, 그 속에 사는 사람은 내가 아는 사람 혹은 나로 변한다.
눈이 먼 사람들은 비참하다. 보지 못하는 것이 직접적으로 만들어낸 비참함이 아니다. 인간의 본성이다. 사회의 안전을 위해서라며 시설에 가두고, 시설 내에서 약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것을 가로채고, 힘이 있는 사람들이 없는 사람들을 착취하고. 소설 속에서는 눈이 멀었기 때문에 일어난 사건이지만 가만 보면 눈이 보이는 사회에서도 버젓이 벌어지고 있다.
<눈 먼 자들의 도시>는 분명 거기 있다는 것을 알고는 있지만 보기 싫어서 시선을 피하는 것을 굳이 파헤쳐서 눈앞에 들이민다.
어려움에 처한 사람은 주변 사람은 당연히 도와준다는 건 개소리고, 국가는 모든 국민을 지켜준다는 것이 거짓말이고, 내가 앉아있는 한 뼘 옆에 '당연히 있을 거라고 생각했던' 정의와 인간다움은 껍데기다. 그래서 <눈 먼 자들의 도시>를 읽다보면 속이 불편하고, 끝까지 읽고 나면 무서워진다.
눈 먼 자들의 도시는 보고 있지만 볼 수 없는, 보지 않는, 보지 못하는 인간들에 대해 말한다.
나는 눈을 뜨고 있나? 보여주는 것만 보고 있지 않은가?
책을 덮고 질문해 본다.
여기에 긍정적인 답을 내놓을 때가, <눈 먼 자들의 도시>를 읽고도 더 이상 무서워지지 않는 시기일 것이다.
덧붙임.
디자인이 별 네 개인 것은 책의 문제가 아니라 작가의 문체 때문이다. 문단이 무지 길고, 따옴표도 없고, 등장인물의 이름도 없어서 읽으면 눈이 피곤하고 때로 헛갈린다.
2008.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