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통신 1931-1935 - 젊은 지성을 깨우는 짧은 지혜의 편지들
버트런드 러셀 지음, 송은경 옮김 / 사회평론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국 철학자 버트런트 러셀이 신문에 기고한 칼럼을 모아놓은 책. 1931년부터 1935년에 걸친 칼럼을 모아놓았다. 

  1931년이라면 지금으로부터 80년 전이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8번이나 강산이 변할 시간이 흘렀다. 그런데도 지금 읽어도 위화감이 거의 없다(아주 없다고는 못하겠다. 만약 내가 그렇다고 말한다면 지난 80년이 매우 아쉬워 할 거다).
 
  일단 책은 거의 600페이지에 달하지만 종이가 가벼워서 아주 무겁지는 않다. 글자며 여백이 큼직해서 읽기는 편하지만, 들고다니며 읽기엔 부담되는 크기가 되서 조금 아쉽다. 페이지수를 페이지의 한가운데에 놓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서(나중에 맘에 들었던 부분을 찾아보기가 번거롭다. 그래서 페이지수가 가장자리에 있는 것이 좋다.) 그것도 아쉽다.
 
  글을 읽을수록 러셀 아저씨가 참 재미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약간의 비꼼과 다량의 위트를 섞어서 정말 재미있게 글을 쓴다. 만약에 러셀 아저씨와 생각이 아주 다른 사람이 있었다면 러셀 아저씨의 글을 읽으며 복장이 뒤집어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하지만 그런 일은 별로 없었을 것 같다. 러셀 아저씨의 주장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 자신의 논조와 같은 글만 골라 읽기 때문에).
 
  사실 낙관주의는 신뢰할 만할 때는 유쾌하지만 그렇지 못할 때는 엄청 짜증스럽다. 특히 짜증스러운 것은 우리의 곤경을 나누지 않아도 되는 자들이 우리의 곤경에 대해 낙관주의를 피력하는 경우다. 타인의 곤경에 관한 낙관주의는 그것을 사라지게 하거나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아주 구체적인 제안이 병행되지 않는 한 대단히 위험하다. (p.133)
 
  재미있다. 평소 생각하지 않고 넘어갔던 것, 알고는 있었지만 별로 깊이 생각해보지 않았던 것을 신선한 눈으로 볼 수 있었던 것 같다. 
  
   


2011. 6. 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