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식의 재탄생 - 공간으로 보는 지식의 역사
이언 F. 맥닐리 & 리사 울버턴 지음, 채세진 옮김 / 살림 / 2009년 8월
평점 :
부제는 '공간으로 보는 지식의 역사 : 지식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보존되는가'이다.
인류가 현재의 문명을 쌓아올리기 위해서는 '지식의 전승'이 필수적이다. 글자가 발명되면서 지식의 수명은 길어지게 되었다. <지식의 재탄생>은 지식을 만들고 보존했던 여섯 가지 공간을 탐색한다. 곧 '도서관', '수도원', '대학', '서신공화국', '전문학교', '연구소'이다. 이 각 기관은 곧 한 시대의 지식 생산/보관을 특정한 기관이다. 현대에도 도서관과 수도원, 대학과 서신공화국, 전문학교가 있지만 저자는 '현대의 지식을 생산하고 보존'하는 기관으로 연구소를 꼽는다. 저자의 말에 따르면 실험 과학의 영향으로 세상의 모든 것이 연구의 대상으로 탐구되고, 비교할 만한 다른 문화의 기관이 없다고 한다.
각 시대를 풍미한 공간들로 나누고, 그 시대의 지식 생산과 보존을 설명하고, 그리고 그 공간이 어떻게 쇠퇴했으며 어떻게 다른 기관이 그 위치를 대체하게 되었는지 상세하게 설명이 나온다. 지식기관의 변천을 설명할 뿐인데도 역사의 흐름을 대충 아우르게 된다(아쉽다면 유럽에 철저히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이다. 간간히 다른 문화(중국/이슬람)과의 비교가 있긴 하다). 종교가 어떻게 과학에게 밀려났는지, 독일에서 왜 유명한 철학자가 다수 등장했는지, 현대적 학교는 어떻게 생겼는지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개인적으로 가장 흥미있었던 부분은 현대 책의 형태인 '코덱스'가 발명된 시기인 '수도원' 부분과(그 전에는 두루마기 형태여서 처음부터 쭉 읽어나가는 것이었다), 완전히 색다른 지식기관인 '서신 공화국' 부분이었다. 그리고 이슬람의 '이자자'라는 자격증에 관한 얘기도 신기했다.
책을 읽으면서, 권력이 얼마나 지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었다. 그 시대 권력이 몸담은 분야가 학문적 연구의 대상이 되는 것 같다. 그래서 권력의 주체가 바뀌면 필연적으로 지식 공간에도 혁명이 일어났다. 그리고 그 시대에 구술문화가 흥하기도 하고 서술문화가 흥하기도 했다. 나는 구술문화가 끝나고 -> (글자의 발명 이후) 서술문화로 이전했다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둘은 엎치락뒤치락하면서 구술문화가 중시되기도 하고 서술문화가 중시되기도 했다.
지식이 아닌 '지식 공간'의 역사가 이렇게 흥미로울 줄은 미처 몰랐다. 내가 사는 세계는 이전의 시간들이 켜켜이 쌓여 있음을 다시금 확인했다. 지식의 탄생/보존의 역할은 다른 기관으로 이전되어 왔으나 그 이전의 기관들 또한 한 걸음 뒤에 물러났을지라도, 세상에 자리잡고 사람들의 방문을 받지 않는가.
2010.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