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어록청상 푸르메 어록
정민 지음 / 푸르메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얼마나 맑은지 되짚게 하는, 이야기

  내 어머니는 잔소리를 하신다. 큰소리는 절대 내지 않고 도란도란 잔소리를 하시는데, 나는 그 잔소리를 들으면서 잔소리 속에 어머니의 삶이 알알이 엮여 있다는 생각을 한다. 잔소리란 아무리 옳은 소리가 담겨 있다 해도 듣기 싫은 것이지만, 어머니의 삶이 스며있다 생각을 하면 아무래도 어머니의 잔소리를 싫어할 수가 없다. 가끔은 다정한 넋두리 같이 느껴지기도 한다. 내 머리가 굵어질수록 어머니의 잔소리도 길고 깊어지는 것을 들어보면, 내가 클수록 어머니의 삶의 양도 늘었다는 생각이 든다.

  내 나이 무렵 어머니가 살았던 30년 전과 내가 사는 현재는 많이 다르다. 어머니의 이야기를 듣자면 그건 아니잖아요, 하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다시 생각해보면 크게 어긋난 구석이 있는 것도 아니다. 세상사는 이치는 삼십년 전이나 지금이나 같다. 옛날과 지금이 얼마나 다른가를 생각해오다가 옛날과 지금이 얼마나 같은가를 생각하게 되면 파드득 놀라고야 만다. 30년 전과 지금이 크게 바뀐 것도 없는 것처럼, 18세기와 21세기도 크게 바뀐 것이 없는 것 같다. 18세기의 다산 정약용 선생의 말이 21세기의 나에게 곰팡내 풍기는 옛이야기로만 느껴지지 않은 것을 보면 말이다. 오히려 놀랍도록, 21세기의 세상을 꿰뚫고 있는 느낌을 준다.




  무릇 직책은 보잘 것 없는데 재주가 넘치면 간사해진다. 지위는 낮은데 아는 것이 많으면 간사해진다. 노력은 조금 들였는데 효과가 신속하면 간사해진다. 나는 홀로 능히 오래 있는데 나를 감독하는 사람이 자꾸 바뀌면 간사해진다. 나를 감독하는 사람 또한 반드시 바름에서 나온 것이 아니면 간사해진다. 아랫사람의 무리가 많은데도 윗사람이 혼자 어두우면 간사해진다. 나를 미워하는 자가 나보다 약한지라 이를 두려워해서 고발하지 못하면 간사해진다. 내가 꺼리는 자가 모두 범한 것을 붙들어 고발하지 않으면 간사해진다. 형벌에 원칙이 없고 염치가 확립되지 않으면 간사해진다. 어떤 이는 간사해서 망하고, 어떤 이는 꼭 간사한 것은 아니었는데도 간사하다 말하며 망하게 되면 간사해진다. 간사함이 일어나기 쉬운 것이 이와 같다.

- <다산어록 청상> 18p, ‘간사함의 원인’ 중에서




  예를 들어, 위의 글을 보자마자 나는 누군가 머리를 두드리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요즘 세상은 특히 간사하다. 옛날은 이보다는 순박했을 것이다. 막연히 그런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세상살이는 언제 어디서나 같다는 깨달음이 왔다. 분노나 냉소가 아니라 차분한 어조로 세상에 대해 말하고 있는 글이, 한 번도 직접 만나본 적 없는 다산 선생의 됨됨이를 느끼게 했다. 산 같은 분이라기보다는 숲 같은 분이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글은 사람을 드러내는 거울이라 하더니, 어떤 위인전이나 역사서를 본 것보다도 정약용 선생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 알게 된 느낌이다.

  겉멋에 찌들어서 하는 말이 아닌, 오래 생각하고 마음을 담아 쓴 말이기 때문일까. 다산 정약용 선생이 하는 말은 어딘지 내 어머니의 잔소리를 닮았다. 단지, 다산 정약용 선생은 자기 자신에게 잔소리를 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한국사에 한 획을 그은 위대한 인물의 말을 엮어놓은 것을 잔소리라고 하면 웃길까? 하지만 다산 정약용 선생의 말은 하나같이 자신의 삶과 그에서 얻은 생각을 다시 자신에게 곱씹어주는 느낌이라서, 역시 나에게는 스스로에게 들려주는 잔소리 같은 느낌이다. 애정이 없으면 잔소리는 하지 않는다. 잔소리에는 애정이 있다.

  엮은이가 <다산어록 청상>에 정약용 선생의 말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옆에 풀어놓은 것처럼, 나도 책을 읽으며 메모지에 내 생각을 적어보았다. 다 읽은 후 보니 책이 빵빵해졌다. 메모를 쭉 훑어보니, 문답의 느낌이 났다. 옳다, 맞다, 그렇다, 라는 말이 제일 많았다. 다산 정약용 선생과 그만큼 많이 공감했다는 소리일 것이다. 그만큼 이치에 맞는 이야기를 하셨다는 이야기이기도 할 것이다.

  고전이란, 어렵고 고리타분하며 지루한 글이라는 느낌을 막연하게 준다. <다산어록 청상>을 읽으면서 처음 마음이 무거웠던 것은 그것 때문일 것이다. 끝까지 읽을 수 있을까? 그건 어머니의 잔소리를 되도록 듣고 싶지 않아하는 내 심리와 맞닿아 있다.

  어머니의 잔소리를 들으면 좋든 싫든 현재의 나 자신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그건 굉장히 하기 싫은 일이다. 현재의 나에게 만족하며 살아가면 편하다. 하지만 어머니의 잔소리는 자꾸 현재의 나를 점검하게 만든다. 나의 문제점을 생각하고, 문제점을 고치기 위해서 노력하게 만든다. <다산어록 청상>도 그러했다. 이 책을 읽으며 “이미 그렇게 살고 있어요.”라는 메모가 나오지 않았다는 게 슬프지만, “되새기고 곱씹어도 잘 되지 않는다.”라는 메모는 있었다는 게 기뻤다. 그 메모가, 내가 노력하고 있다는 증거로 보였기 때문이다.

  이치에 더하거나 덜함이 없이 올곧게 살기 위해 고심하는 다산 정약용 선생의 모습처럼, 나도 그렇게 살 수 있었으면 좋겠다. 내가 한 말에 딱 들어맞는 사람이 되었으면. 그런 욕심이 생겼다. 다시 한 번 다산 정약용 선생의 글을 읽을 때에는 ‘나도 그렇게 살고 있어요.’라는 메모가 끼어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내가 무엇을 하고자 하든, 모름지기 모든 것은 나를 다스리는 것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일 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