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그 무시무시한 주술
심경호 지음 / 홍익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책, 그 무시무시한 주술>이라는 제목이 참 마음에 들었다. 왠지 빡! 하고 충격을 줄 만한 이야기들이 있을 것 같았다. 그래서 덜컥 신청하고서 읽기 시작했는데, 제일 처음 놀란 것은 이 글이 다름아닌 수필에 속한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또 읽다보니 수필이 아니라 사설이나 논박문 같았다. 그리고 또 읽기 시작하니 추천글의 양상을 띠기 시작했다. 이렇게 말하면 따로따로 글이 놀 거 같지만, 그렇지가 않다. '고전'에 관한 저자의 지식이 면면히 녹아들어 글을 하나로 묶어주고 있기 때문이다. 

 

  나는 어렸을 때 한문을 참 싫어했는데, 그래서 고전이 좀처럼 좋아지지가 않았다. 고전은 어렵고 고리타분했다. 그런데 <책 그 무시무시한 주술>을 읽고 있자니 무시무시하게도 고전이란 생각보다 재밌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고전이라고 하면 어렵고 꺼려지지만 옛이야기라고 하면 흥미가 당기기 마련인데, 이 글은 고전을 옛이야기로 풀어내는 재주가 있었다. 글에 담긴 옛이야기들은 재미있었고, 다양한 지면에 올렸던 만큼이나 다양한 면모를 가지고 있었다. 어떤 것은 무거웠고 어떤 것은 가벼웠고, 하지만 공통적으로 '내가 잘 모르지만 흥미가 가는' 것들에 대해서 담고 있었다. 

 

   한 권의 책을 읽어도 각자의 마음에 남는 구절은 다르기 마련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선인들, 스스로 묘비명을 쓰다>, <나는 어떤 사람인가, 나는 누구인가: 선인들의 자서전>이 새로운 세계를 보는 것 같아서 흥미진진했고, <목마는 어디로 간 것일까>와 <책 읽어주는 남자>는 역사와 사회에 대해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했다. 그리고 <서찰용어 취공에 얽힌 숙제>는 나의 얄팍한 공부에 반성을 하게 만들었다. 

 

  과거가 없으면 현재도 없고 미래도 없다는 말이 왠지 생각이 났다. 느릿느릿 거북이처럼 읽었지만 그 거북이걸음이 답답하고 지루하지 않았던 책이었다. 기회가 닿으면 저자의 다른 저서-한기기행 등-도 읽어보고 싶다.

 

2010. 8. 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