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위치 - 손쉽게 극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행동설계의 힘
칩 히스 & 댄 히스 지음, 안진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0년 4월
평점 :
변화는 어떻게 해야 가능해지는가?
<스위치>는 변화하고 싶지만 변화에 번번히 실패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변화란 주로 '거대한 무언가'를 해야 가능할 것 같지만, <스위치>는 아주 작은 일로 큰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벽에 달린 버튼을 누르면 곧 방이 환해지는 것처럼!
1. 기수에게 방향을 제시하라
2. 코끼리에게 동기를 부여하라
3. 지도를 구체화하라
세 가지 커다란 틀에 맞춰서 저자들은 변화의 요령을 세세하게 짚어나간다. <스위치>를 읽으면서 깜짝 놀란 부분도 많았다. 상식이 뒤집혔달까? '자제력은 소모성 자원이다.', '저항으로 보이는 것은 종종 명확성 결핍의 문제다.', '"지금 당장 효과를 보이는 게 무엇일까?"'라는 문장들을 보며 머리를 탁탁 두드리는 느낌이 들었다. 생각지도 못한 부분에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저자들은 "결코 변화할 수 없는 것은 없다"라고 말하며 경직되 있던 내 머리를 꾹꾹 눌러서 풀어준다.
저자들은 사람의 호기심을 끌어내는 데 익숙하다. 책은 사례로 가득차 있고, 그 사례를 보면서 어떻게 변화가 가능했는지를 먼저 보여준 뒤, 그 사람들이 사용한 '변화의 법칙'을 설명한다. 딱딱하게 "당신은 이러므로 그러해서 저러한 것을 하고 싶으면 이러저러그러요러해야한다. 이것을 무엇무엇의 법칙이라 하는데 어쩌구 교수가 저쩌구 일을 해서..."라는 분석과 서술로만 가득차 있는 책보다 "이웃집에 누구가 이래서 저랬대. 그런데 그게 알고보면 그래서 요렇게 된 거래!"라고 말하는 게 훨씬 더 읽기 편하다. 그리고 <스위치>는 후자다. 책을 읽으면서 수다를 떠는 기분이 들었다. 한 마디로 즐거웠다는 소리다. 더구나 사례 속에서 보이는 '변화하기 싫어하는 사람들'은 내 모습과 자주 겹쳐져서, 조금쯤은 심각하게 읽었다.
작은 일로도 큰 변화가 가능하다는 건 놀라우면서도 몹시 매력적이다. "할 수 있다!"라는 느낌이 드니까. 어쩌면 <스위치>가 변화의 스위치를 누르는 시작점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2010. 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