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 정치학 - 와인 라벨 이면에 감춰진 불편한 진실, '최고급'와인은 누가 무엇으로 결정하는가
타일러 콜만 지음, 김종돈 옮김 / 책으로보는세상(책보세)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프랑스의 와인 산업과 미국의 와인 산업을 비교하고 각각의 나라에서 생산되는 와인에 개입하는 정치적인 이해관계를 조명하는 책이다. 즉, 와인은 단순히 포도로 빚은 술로써 생산되고 유통되고 소비되는 게 아니라 정치가, 유통업자, 평론가 등 제 3의 세력(이라고 보통 생각하는, 생산자-소비자 이외의 변수들)의 입김이 들어 있음을 여러 자료를 들어가며 설명해준다.

  만약 대한민국이 와인의 주요 생산지이며 수출국이라면 <와인정치학>은 한 번 쯤 읽어봐야 할 책이었겠지만 불행히도 대한민국은 와인의 수입국이지 생산국이자 수출국이 아니다. 따라서 와인이라는 상품에 얽혀있는 이해관계, 정치법안, 사회분위기는 말 그대로 "다른 나라 이야기"일 뿐 내 이야기가 될 수 없고, 그래서 나는 어딘지 조금 붕 뜬 기분으로 이 책을 읽어내렸다. (더구나 나는 와인에 대해 폭넓은 지식을 가지지도 않았고 와인에 열광하는 와인컬렉터도 아니니 더더욱 그랬다.)

  그러나 한 가지- 와인에 개입하고 있는 정치처럼 우리 나라에서 다른 식품, 다른 상품, 다른 어떤 것에도 정치가 개입하고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와인정치학>을 읽는 동안 꾸준히 들었다. 정치는 단지 와인에 국한되어 있지 않은 것이며 저 국회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닌 내 식탁을 비롯하여 나의 주변에 광범위하게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은가. 그런 생각을 하자 한국판 <와인정치학>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때는 제목이 와인정치학이 아니겠지만.

 

2009. 5. 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