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한 권의 책에서 시작되었다 - 정혜윤이 만난 매혹적인 독서가들
정혜윤 지음 / 푸른숲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그들은 한 권의 책에서 시작되었다>는 사람이 만들어낸 책이 사람을 만든 과정에 대해 훑어간다. 11명(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고, 혹 이름이 생소해도 약력을 보면 아, 그 사람이로군, 이라는 생각이 드는)과 그들을 스쳐간 혹은 그들에게 박혀있는 책을 말한다. 온전히 정혜윤의 시선으로. 정혜윤은 인터뷰하는 내내 그들을 재해석한다. 마치, 자신이 한 권의 책을 읽어내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하나의 책을 읽어가는 와중에 머릿속에서 비슷한 다른 책이 링크되고 끊임없이 자신의 해석과 추측과 과거의 생각과 미래의 단상이 어지럽게 얽히는 것처럼, <그들은 한 권의 책에서 시작되었다>에서 정혜윤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그들이 말한 책을 자신이 이전에 읽었던 경험을 떠올리고, 사람들이 말한 책과 그 사람과의 이미지를 연관짓고, 책이나 사진 그리고 영화포스터의 그림을 끌어다가 인용한다. 그래서 이 책은 인터뷰라고 하기에는 꽤나 적절치 않다. 책에 대한 설명과 인용이 반이고, 반의 반은 정혜윤의 책에 대한 생각의 서술이고, 그 외의 것만이 각 장의 제목이 된 사람의 이야기로 채워져 있다. 마치 '진중권' '공지영' '변영주' 등의 주제어로 검색해서 정혜윤 자신의 경험을 끌어내는 것만 같다. 그것은 마치,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공감을 해 주는 과정과 비슷하다. 그래서 나는 나와 친한 누군가가 자신이 읽은 책에 대해 이야기를 해 주는 것처럼 소르르 빠져든다. 그리고 생각한다. 나의 책의 역사는 어디서 시작되었을까.

  남의 이야기가 나의 이야기로 치환될 수 있었던 것은 이 책이 미성숙하고 불안정한- 소위 말해 '폼 안 나는' 과거들을 말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들은 한 권의 책에서 시작되었다>에 나오는 사람들의 이야기에는 성공한 사람 특유의 번쩍이는 느낌이 없다. 촛불 아래에서 글자를 더듬어가는 듯한 열기와 어슴푸레한 빛, 그리고 꼿꼿함이 있을 뿐이다.

  보스헤스의 <바벨의 도서관>, 그 책을 언급하며 정혜윤이 말한 것처럼, 책들은 끊임없이 인용되고 그래서 한 책으로 시작해서 다른 책을 만나게 되고 하다 보면 책은 일렬로 줄을 서서 뫼비우스의 띠처럼 돌고 돌기도 하고 무리지어 군무를 추기도 한다. <그들은 한 권의 책에서 시작되었다>는 수많은 책과 인용문이 모여서 합창을 하고 있는 느낌이다. 나는 이 사람을 만들었어. 너를 만든 것은 누구니. 그 과정에서 나는 새로운 책에 대해 알고, 그 책이 어떤 느낌일까 상상해보고, 지금 11명이 어디에 와 있나를 생각하면서 다시 나를 생각한다. 책이 지금도 나를 만들고 있다. <그들은 한 권의 책에서 시작되었다>도 이제 나를 만드는 데 일조할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름 정리한 목록을 들고, 오늘 도서관이라도 들러봐야겠다.

 

2009. 5. 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