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ve, 사랑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A. M. 파인스 지음, 윤영삼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5년 8월
평점 :
절판


  여름이 지독하게 길다 싶더니 어느 새 가을이 왔다. 감 몇 개 까먹다 보니, 시큼한 귤이 지배하는 겨울이 코끝을 내밀었다. 덕분에 감기에 걸려서 골골대다가 모처럼 집어든 책이 <러브: 사랑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이다.

  할리퀸 소설부터 '그이를 사로잡는 법' 같은 실전실용서, 학술적으로 사랑을 분석해 놓은 인문사회과학 책까지, 사랑에 관한 책은 참 많다. <러브: 사랑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는 도서관 책장을 뒤지다가 발견한 책이다. '나는 사랑에 대해 말하고 있어', 라고 주장하는 듯한 핑크색 표지와 크게 박혀 있는 LOVE라는 단어에 홀려서 집어들었다. 그런데 만약 "사랑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이라는 부제에 홀려 집어들었다면 실망했을 지도 모르겠다. 이 책은 낭만적인 사랑과 심리학에 철저하게 초점이 맞춰져 있다. "낭만적 사랑에 대해 심리학이 알려주는 많은 것들"이라는 쪽이 정확하다. 

  <러브: 사랑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은 크게 세 개의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누구와 사랑에 빠지는가? 

   우리는 왜 사랑에 빠지는가? 

   어떻게 하면 성숙한 관계가 될까?

 
  <러브 : 사랑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은 심리학 이론을 들이대어 사랑의 부분부분을 설명한다. 세상에 있는 학문이 심리학 만은 아니니까 부족한 부분이 보이기도 하지만,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넘어가고 보면 꽤나 정교하게 사랑을 분해하고 설명해 놓은 느낌이 든다. 특히 의 1장이 그렇다. A동에 사는 B가 네 짝이다 라는 말은 안 적혀 있지만, 1장을 꼼꼼이 훑어보면 '어디서 사랑을 찾을 수 있을지'에 관해 어렴풋이 느낌이 온다. 

  1장을 읽고 꽤 만족스럽게 2장을 읽기 시작하면, 호기심은 들지만 녹록치 않은 주제가 대뇌 주름을 괴롭히기 시작한다. "나는 왜 너를 사랑하는가?" 의식적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이 질문 때문에 가지각색 심리학 이론이 끌려나온다. 애착이론, 프로이트, 융...... 심리학 이론에 대한 학술적 설명은, "여긴 어딘가 나는 누군가 왜 이 책을 읽는가"라는 회의가 살살 들기 시작할 무렵 끝이 난다.

  연애 얘기는 재밌다. 내 연애 얘기도 재밌고 남의 연애 얘기를 듣는 것도 재밌다. 에는 곳곳에 연애에 관한 인터뷰('사랑에 빠진 순간')가 나오는데, 적당히 긴장도 풀어주고 흥미도 다시 돌게 해 주는 역할을 하며, 책이 말하는 내용을 다시 되새기게도 해 준다. 그래서인지 꽤나 쉽게 마지막 까지 읽을 수 있었다(남의 연애 얘기 듣는 기분이 들어서 그런지, 개인적으로 4인의 심층 인터뷰 내용이 읽으면서 제일 즐거웠다).

  보통 책을 읽으면 좋은 부분은 처음 혹은 중간부분일 경우가 많다. 대개 마지막 부분은 앞부분에 비해 집중도도 떨어지고, 전에 했던 얘기를 마무리하는 단계라서 내용이 늘어지는 느낌이 든다. 그런데 는 이례적으로 3장이 가장 인상깊었다. 치명적 이끌림 혹은 무의식의 현명한 선택이라 부르는 현상은, 지금까지 내가 듣도 보도 못한 것이었고 따라서 상당히 신기했다.

  '사람들은 그들이 사랑에 빠진 바로 그 이유로 인해서 사이에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여자는 그 남자가 과묵해서 사랑에 빠졌다. 그러나 여자는 그 남자가 너무 무뚝뚝하고 표현을 안 하는 점을 도저히 참을 수가 없다.

  사랑하는 사람에 대해 "내 반쪽"이라고 한다. 왜 그럴까. 사람들은 나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 나의 상처받은 경험을 뛰어넘기 위해 그 사람에게 끌린다. 그리고 그 사람이 나의 부족한 부분을 갖고 나의 상처를 되새기게 하기 때문에 그 사람과 부딪힌다. 이 '벽'을 뛰어넘으면 한 단계 더 높은 인격적 성숙을 가지게 되지만 쉽지 않다.

  사랑이 이 책에 나오는 심리학적 기제만으로 설명할 수 있는 현상은 아니겠지만, 이 책은 적어도 나에게는 사랑이란 감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사람의 뇌는 한계가 있으니까, 시간이 흐르면 이 책의 내용도 다소 잊어버리겠지만 그래도 단 하나의 명제는 계속 머리 속에 남아 있을 것 같다.

  "나를 사랑하는 사람이 다른 사람을 사랑할 수 있다."

  스스로를 사랑하지 않는다고 아예 사랑을 못하는 건 아니지만, '행복한 사랑'을 하긴 힘들단다. 그러니까 파이팅이다.

  (그런데, 아예 사랑을 하지 못한다는 것보다 '불안한 사랑'을 겪는다는 게 더 무섭지 않은가?)

 

 

2008. 11. 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