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트렌드를 읽는 기술 - 비즈니스맨과 트렌드세터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트렌드 입문서
헨릭 베일가드 지음, 이진원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어떤 게 앞으로 유행할 것인가? 경마에서 어느 말이 1등으로 들어올 것인가를 예측하는 것만큼, 야구게임에서 A팀이 B팀을 몇 점 차로 이길지 예측하는 것만큼 알기 힘들다. 신문과 잡지가 부단히 내 놓은 기사들에서도, 그것이 Fad로 끝날지 Trend가 될지 짐작하긴 쉽지 않다.
<트렌드를 읽는 기술>은 "무엇이 어떻게 트렌드가 되는가?"에 초점을 맞춘 책이다. 트렌드가 어떻게 생기고, 받아들여지고, 확산되고, 소멸되는지. 새로운 트렌드가 떠오를 때마다 특정 패턴을 따른다는 것에 착안, 그 '특정 패턴'을 설명한다. "거미가 활발히 집을 지으면 날이 갤 신호다"와 같은 류랄까. 여러 사례들을 훑어보며 일반적 트렌드 모델을 설명하는 식이다.
다분히 학술적인 내용임에도 딱딱한 느낌이 없는 것은, 사례가 내용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례를 읽는 것만으로 꽤 재미있다.
유행은 다방면에 걸쳐서 일어나는 만큼 사례도 다방면에 걸쳐있으면 좋겠지만, 다루는 사례는 대체로 '패션'이다. 다른 여러 분야는 트렌드가 생기고 소멸하는 기간이 긴 데다가 변화가 확 눈에 들어오지 않으므로, 유행이라고 하면 즉각 생각나는 '옷'을 주 예로 들어 설명하지 않았나 싶다.
유행에 대해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을 콱콱 찔러준다는 느낌이 없는 것은 좀 아쉽다. 이 책은 통찰학습이라기보다 관찰학습이다. 하지만, 관찰을 기본으로 한 만큼 탄탄하다. 트렌드에 관한 것을 한데에 묶어 잘 정리해 놓았다. 트렌드를 이해하는 틀을 제공한다는 점이 좋다. 특히 각 장의 마지막에 요약-정리 부분이 따로 있는데, 핵심 내용을 다시 한 번 짚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 책은 트렌드를 읽는 '기술'에 대해 귀띔해 주는 것 뿐이다. 실제로 유행을 알기 위해서는 자료를 모으고 대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론을 현실에 적용하기 위해 노력이 필요한 것처럼. 그래도 실마리는 주어졌으니 상황은 나아진 걸까?
2008. 8.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