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첨론 - 당신이 사랑하고, 시기하고, 미워하는 사람 모두에게 써먹고 싶을 128가지 아첨의 아포리즘
윌리스 고스 리기어 외 지음 / 이마고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아첨은 부정적인 말이다.
* 아첨 : 남의 환심을 사거나 잘 보이려고 알랑거리는 것.
<아첨론>은 아첨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아첨 : 즉석으로든 준비해서든, 노력한 사람에게든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든, 대가를 기대하는 칭찬.
<아첨론>은 아첨의 긍정적인 면을 주목하는 책이다. 사람들을 설득하기 위해서 저자는 역사, 인물, 책을 수없이 많이 인용한다. 아첨의 성질, 아첨의 긍정적인 힘, 아첨의 방법 등을 읽어가다보면, 우리가 알고 있던 '아첨'은 극히 일부분임을 알 수 있다. 금전, 권력만이 아니라 상대의 호감이나 우정을 바라면서 하는 칭찬도 아첨이라고 보면, 아첨은 칭찬과 거의 동급이나 다름없다.
그런 점에서 보면 아첨을 할 대상은 널려 있다. 나를 뺀 모든 사람에게 아첨을 할 수 있고 해야 한다. <아첨론>에서 말하는 아첨은 하나의 사교술이다. 그래서인지 아첨은 어디에나 존재한다. 정치, 사회, 예술, 연애, 종교....... 누울 자리 보고 다리 뻗는다고, 아첨을 받기를 원하니 아첨을 해 줄 수밖에. 수준 높은 아첨은 나의 수준을 높여주고 동시에 삶을 부드럽게 해 준다. (수준 낮은 아첨과 아첨의 부작용에 대해서는 뒷부분에 적나라하게 나온다).
<아첨론>의 내용 중에서 특히 2장이 마음에 쏙 들었다.
'나에게 아첨하라.'
'나에게 아첨한다'를 세 글자로 줄이면 '자신감'이 된다. 자신감은 모든 일에 동력원이 되는 법, 나에게 아첨해서 나쁠 것이 없지 않은가. 누구에게 돈을 줘야 하는 것도 아니고, 시간이 많이 드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나에게 아첨하는 것에는 보너스도 붙는다. '무슨 말을 들으면 내가 기뻐하는가'를 보면서, 남에게 어떻게 아첨해야 하는지도 알 수 있다. 또한 '누가 나에게 아첨하고 있는가'를 알아챌 수도 있다. 나는 아첨의 실험장이다.
무척 유쾌하게 읽을 수 있었다. 그러나 내용이 약간 정리되지 않은 느낌이 있고, 신선한 맛이 부족하다. 아첨을 우리가 생각하는 아첨의 정의에 놓지 않고, 무척 포괄적인 의미로 정의했기 때문에 제목이 '아첨론'이라고 하기엔 부족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내 생각엔 '사교론' 정도가 적당하겠다.
덧붙임.
책이 참 예쁘다. 그런데 여백이 넓고 행간이 너무 떨어져 있어 가독성이 떨어진다. 굳이 순서를 지키면서 읽지 않아도 되는 것은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멋대로 뒤적거리며 마음에 드는 부분을 읽어도 되는 게 편해서 좋았다.
2008.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