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과 무생물 사이
후쿠오카 신이치 지음, 김소연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A와 B의 영혼이 바뀐다.’ 
  영화나 드라마 그리고 소설을 통해서 우리에게 익숙한 설정이다. 이 밑에는 ‘인간의 영혼은 육체와 별개의 존재이다.’라는 믿음이 깔려있다. 그러나 현대과학이 밝혀낸 바에 따르면, 인간의 영혼은 뇌에 있다. 즉, 영혼과 육체는 하나로 존재한다. 수천 년을 이어왔던 영혼-육체의 관계가 뒤집어진 것이다.

  영혼과 육체의 관계처럼 우리가 아무렇잖게 받아들였던 사실이 있다. ‘생물과 무생물은 구분할 수 있다.’  나는 생물이다. 책상은 무생물이다. 이것이 뒤집어 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점점 발달해가는 과학은 생물과 무생물의 경계를 흐려놓고 있다. <위험한 생각들(존 브록만 엮음, 겔리온)>에서도 '생물과 무생물을 구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장이 나온다. 읽어보면 또 나름 납득이 가는 주장이다. 그렇다면, 나와 책상을 생물이라는 카테고리와 무생물이라는 카테고리로 각각 편입시킬 수 없다는 건가? 

  <생물과 무생물 사이>라는 책의 제목을 보고 난 뒤, 나는 이 책이 <위험한 생각들>에서 본 특이한 생각을 뒷받침해 주는 내용이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기꺼이 책을 집었다.

  '생명이란 자기복제를 하는 시스템이다.' <생물과 무생물 사이>는 이 명제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생물이라고도 무생물이라고도 하기 모호한 존재, '바이러스'가 있다. 바이러스는 자기복제가 가능하지만 개인차가 없는 기계적 오브제 모양을 하고 있다. 이것을 어떻게 볼 것인가?  


  위의 명제에 따르면 바이러스는 의심할 여지없는 생물이다. 그러나 저자는 바이러스를 무생물로 본다. 즉, 위의 명제에 덧붙는 제 2의 명제가 있다는 것이다.

  제2의 명제를 찾기 위해서 저자는 DNA에 대한 서술에서 원자의 역동성 그리고 동적 평형의 개념까지 다가간다. ‘생명이란 동적 평형 상태에 있는 흐름이다.’라고 생명을 재정의한 뒤, ‘끊임없이 파괴되는 질서는 어떻게 그 질서를 유지하는 것일까?’라는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 단백질의 구조와 녹아웃 마우스 실험으로 넘어간다.  


  여기서 의문이 하나 있다. 
  저자는 왜 ‘생명이란 동적 평형 상태에 있는 흐름이다.’라는 명제를 세균-바이러스의 차이점에 빗대어 다시 설명하지 않았는가? 어떤 예를 설명하기에 A 명제가 불충분하다고 여겨서, B라는 명제를 끌어냈다. 그러면 어떤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B명제를 적용해 봐야 하는 것 아닌가?

 

  두 번째 의문은, 재정의된 명제에서 끌어낸 ‘끊임없이 파괴되는 질서는 어떻게 그 질서를 유지하는 것일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생물은 무생물과 틀리다. 따라서 A라는 부분이 사라져도 여전히 작동한다. 다른 부분이 A의 구멍을 보완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현상에 대한 기술이다. 존재하는 상황에 대해 표면적인 것을 나열했을 뿐이다. 그 의미를 ‘설명’해야 진정한 답이 될 수 있는데, <생물과 무생물 사이>는 그것을 포기했다. 대신 생명의 신비로움에 대한 납득할 수 없는 묘사를 슬그머니 내밀었을 뿐이다.  


  “결국 우리가 밝혀낼 수 있었던 것은 생명을 기계적으로 조작할 수는 없다는 사실이었다.”라는 맨 마지막 문장을 읽고, 나는 화가 났다. 저자는 독자에게 불성실하다. 모르면 모른다고 하면 된다. 생물과 무생물의 사이에 놓여있는 간극을 설명하기 위해 또 다른 천재가 등장해야 한다고, 더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면 납득할 수 있다. 나는 과학적으로 풀어낸 파격적인 제안을 보고 싶었지, 정확한 근거도 없이 내민 고전적인 주장을 다시 확인하고 싶었던 게 아니다. 
  (물론 후자가 훨씬 대중에게 잘 먹힐 거라는 생각은 한다. 그건 ‘안전한’ 생각이다.)  


  <생물과 무생물 사이>에는 저자 자신의 이야기와, 지나간 과학자들의 에피소드와, 과학자들의 승진(?) 시스템, 연구하는 과정, 연구 장비, 그리고 생물학 정보가 뒤섞여 있다. 


  솔직히 말해서 과학책은 까다롭다. 지식이 없으면 읽기가 힘들다. 나는 과학에 대해 아주~아주 기본적인 지식만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분자생물학에 관한 책을 넙죽 읽는다고 이해가 되지는 않는다. 더구나 분자생물학 같은 아주 최근에 알게 된 분야에 대해 서술할 경우에는 소화하기가 더 힘들다. 이건 저자가 쉽게 써도 마찬가지다.

  그런 점에서 <생물과 무생물 사이>는 일반인을 충분히 배려했다. 이야기의 두서없음은, 뻑뻑한 과학 얘기로 피곤한 머리에 기름칠을 해 주고, 너무 풀어지는 것 같다 싶을 때 과학 얘기가 쑥 튀어 나와서 지식의 세계로 인도한다. 셰헤라자데의 이야기를 듣는 술탄처럼 푹 빠지고 만다. 

 

  이 훌륭한 완급조절은 독자가 쥐가 난 머리를 붙잡고 흔들다가 급기야 책장을 덮어버리는 일을 방지했다. 그러면서 주고 싶은 과학정보는 충분하다. 군데군데 곁들여진 그림은 글자만으로는 이해가 안 가는 것을 훌륭히 커버한다.

  개개의 이야기는 아주 훌륭하다. 재밌고 신기하고 흥미롭고 신난다. 저자는 이 얘기에서 저 얘기로 뛰어다니며 상관없어 보이는 것들을 자연스럽게 연결시키고, 독자는 마냥 신나서 새로운 것을 흡수하며 저자 꽁무니를 쫓아다닐 수 있다.

  그러나 책에는 주제라는 것이 있는 법. 이것저것 나열하다가 중간에서 주제가 흐려진다면 독자는 혼란스럽고, 결과적으로 책을 덮은 뒤 고개를 갸우뚱하게 된다. 세부 내용이 아무리 훌륭해도 ‘훌륭하다’는 평가를 받을 수 없다. 저자는 멋진 이야기를 하나의 꼬치에 꿰는 것은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나는 그것이 매우 아쉽다. 아주 훌륭한 책을 하나 만날 뻔 했는데 한 발 삐끗해서 완전히 틀어져버린 기분이다. 그래서 <생물과 무생물 사이>는 별이 네 개다. 마지막 하나가 논점이 흐려진 값이라고 생각하면 조금 비싸려나. 
  

 

2008. 6. 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