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의 역사 - 빵을 통해 본 6천년의 인류문명, 개정판
하인리히 야콥 지음, 곽명단.임지원 옮김 / 우물이있는집 / 2005년 5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서양에서 주식으로 먹는 밋밋하고 둥그런 발효빵을 매개로 삼아서, 고대 이집트에서부터 1943년까지의 시간동안 인간이 이루어낸 정치, 경제, 역사, 화학, 생물학, 농업, 기계공학, 종교, 법, 문학의 분야에 대해 얘기한다.

  로마 제국의 붕괴, 프랑스 혁명, 아메리카 대륙 발견과 산업혁명, 세계 1-2차 대전에 빵이 미친 영향은 실로 놀랍다. 세계는 빵 위에 세워져 있다!고 감히 말할 수 있다. 더 놀라운 점은, 이 방대한 이야기를 읽는데 전혀 부담이 안 간다는 점이다. 너무너무 흥미로워서 책장이 휙휙 넘어간다.

  엘레우시스 신전의 얘기부터 이차 세계대전의 기근협정까지 모든 내용이 좋았지만, 가장 기억에 남는다면 역시 중세 농부의 가난함일까. 중세가 잘 못 사는 시기였다는 건 역사책에서 들어 익히 알고 있었지만, 그들이 먹는 빵이 흙과 톱밥, 동물의 피를 섞은 엉터리 빵이고 그나마도 없어 굶어죽거나 인육을 먹었다는 건 상상도 못했다. 농기구가 망가지고 땅은 소출을 내지 않고, 손으로 땅을 파헤치는 농부, 농부가 먹을 것을 숨겨놓고 있다는 도시 노동자들의 오해. 내가 본 적 없는 세계가 있었다.

  오늘날 세계의 풍요는 아메리카에서 발견한 옥수수와 감자, 매코믹이 발명한 수확기, 질소-칼륨-석회-인산이라는 땅의 필수양분을 밝혀낸 토양화학자 리비히, 멘델의 법칙을 활용한 종자개량연구가, 기후조건에 단련된 리센코의 씨앗이 합쳐져 일구어낸 것이다.

  빵은 정말 위대하다. 굶주리지 않는다는 건 얼마나 축복받은 일인가! 빵을 두둑히 먹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고 또 노력했는지 모른다. 그런 면에서 빵이 넘쳐나는 현대는 확실히 풍요롭다.

  별 다섯개까지밖에 없어서 다섯 개를 줬지만, 열 개 스무 개를 주고 싶을 정도로, 하인리히 E. 야콥의 지식과 입담은 굉장하다. 정말 좋은 책이다. 

 

 덧붙임. 

 2011년 현재 절판되었다. 아쉽다. ;ㅅ; 

 

2008. 6. 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