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패배자 - 한 권으로 읽는 인간 패배의 역사
볼프 슈나이더 지음, 박종대 옮김 / 을유문화사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패배는 비참하다. 진 사람은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는 지는 것을 두려워한다. 그런데 어떻게 패배자가 위대할 수 있는가? 영광스러운 패배란 존재하는 것인가?

  <위대한 패배자>에 따르면, 패배자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어도, 다 똑같은 유형의 사람들은 아니다. 여러 분류로 나뉘는 패배자들, 이 책은 그들이 어떻게 정상에 섰고 스러져 갔는지 짚어간다.

  세계 역사에 이름을 남기고 대대로 기억되는 것은 승리자다. 우리는 거대한 제국을 건설한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기억한다. 하지만 그가 정복한 땅을 원래 지배하고 있던 (그러나 대왕에게 패배한) 왕의 이름은 기억하지 않는다. 승리자는 멋지다. 승리했기 때문에. 

  그러나 인간적인 측면으로 봤을 때 더 끌리는 것은 승자가 아니라 패자라고, <위대한 패배자>의 저자는 말하고 있다. 희극보다 비극이 오래 사랑받고 인상 깊은 것처럼, 패배했기 때문에 더욱 인상깊고 자랑스러운 이들이 있다고. 세상은 자로 잰 듯 똑바르지는 않아서, 노력했지만 패배한 수많은 사람들이 있고, 이러한 패배자들은 승리한 사람보다 더 멋있다고. 패배자가 아무 것도 아닌 것은 아니라고. 패배에도 의미가 있다고.

  <위대한 패배자>는 타고난 성격 때문일 수도 있고, 실수가 초래했을 지도 모르고, 수완이 부족했을을 수도 있고, 운이 따르지 않았을지도 모르지만, '패배'했다는 공통점을 가진 이들의 흔적을 더듬어가면서 패배자들을 사랑스럽게 그려냈다. 진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할 수 있고, 패배한 자신을 사랑스럽게 여길 수 있다고, <위대한 패배자들>은 말하고 있다.

  그러니까, 패배했다해도 괜찮다고. 어쩌면 승리한 것보다 자랑스러울 수도 있다고. 패배했다는 것은 그가 부족했다는 것이 아니라 승리한 사람보다 조금 더 인간적이었다는 증거일지도 모른다고 말이다.

  사람들은 승리자를 본다. 승리자가 밟고 일어선 사람들은 보지 않는다. 하지만 세상에 항상 승리하는 사람은 없다. 크든 작든 패배하며 성장한다. 그러니까 넘어져서 진흙 바닥에 코를 박아버린 자신을 "이 멍청이!"라고 질책하지 말고 사랑스럽게 봐 주자는 생각을 했다.

  그래, 나는 졌다. 그게 뭐 어때서?
  나는 위대한 패배자다!
 

  어쩌면 이 책은 잔뜩 넘어져 상처투성이인 스스로를 사랑스럽게 봐 주라고 말하고 있는 건지도 모르겠다. 

 

2008. 6. 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