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에 더 잘나가는 불사조 기업 - 20년 불황에도 연 10% 이상 성장한 52개 일본기업
서용구.김창주 지음 / 더퀘스트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일본이 경기가 조금씩 살아난다는 소식에 발맞춰 자주 들리는 단어가 구인난이다.

장기 불황속에서는 구직난으로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젠 그 반대의 상황이 생기고 있다.

이것을 보면 우리나라도 일본의 전처를 밟아가는 모습이 보여 지금의 구직난이 구인난으로 바뀌려면 20~40년이 지나야 된다는 얘기로 해석된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그 때가 되면 난 이 세상에 없겠지만..

그래서 굳이 시간의 흐름을 되풀이 하지 말고 개선책, 해결책 및 우리가 할 수 있는 방안들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들을 일본의 경험에서 추출해 우리식으로 적용시켜 보는 것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한다.

 

이 책이 소개하는 불사조 기업들은 20년이 넘는 오랜 일본 불황속에서도 연 10% 이상, 세상에 10 퍼센트 이상 성장한 기업들 중 52개사를 선정해 그들의 비법을 간략하게 소개한 내용이다.

책의 중반부터 52개 기업들을 하나씩 나열하면서 얘기를 풀어가는데, 읽고 있다보면 얼마전 읽었던 <기본에 충실한 나라, 독일에서 배운다>는 내용이 생각이 났다.

크게 남다른 노하우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남들과 다른 방식과 절차를 찾아내고, 새롭게 정립해 그것을 지켜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것을 독일도 충실히 이행해서 지금의 유럽 위기에서도 그들은 끄덕없이 버티고 있는 것이고, 불황 불황 불황이라는 암담한 현실 속에서도 자구책을 스스로 찾아내 철저하게 실천해 나간 일본 기업들도 도산, 파산이라는 단어들을 피해 기대 이상의 수익을 내면서 승승장구하고 있다.

 

무엇이든 그 기본과 원칙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것 같다.

 

52개사 중에서 개인적으로 들어본 적이 있는 기업은 라쿠텐, 세븐일레븐, 미니스톱, 훼미리마트 이 4곳 뿐이었다.

유니클로와 라이벌 관계인 기업이 '시마무라' 라고 한다.

유니클로가 상권이 유리한 도심으로 들어오는 반면에 시마무라는 시외를 중심으로 출점한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시작점이 다른데도 서로가 라이벌 관계가 된다는 것도 신기하다.

그러나 실질적인 기업 성장력에서 유니클로를 압도적으로 앞서는 것이 시마무라 라고 한다.

그 비결은 아주 간단하게도, 유니클로가 PB 상품만을 취급하는 반면, 시마무라는 완전 매입제를 추구한다는 사실이다.

제조업체의 책임은 제품을 만들어 납품하는 것까지고 나머지는 모두 시마무라가 책임진다는 것이다.

최대한 재고 없이 모든 제품을 다 판다는 원칙하에 매장별로 남는 재고품들을 매장간 이동시킨다는 것이 정말 매력적인 방법인 것 같다.

이 원칙을 지금까지도 흔들림 없이 지켜온 결과 외국 SPA 브랜드가 몰려 들어온 상황에서도 높은 수익을 내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기업들에서 눈여겨 봐야 될 부분이 대부분 자신의 직원들을 믿고 신뢰하며, 그들을 존중한다는 것이다.

정말 부러운 모습이다.

한국은 아직도 직원은 비용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는 업체들이 허다하다.

시에서 지정한 강소 중소 기업이라는 곳에서 일해 봐도, 공영방송에 강소기업으로 소개된 곳에 면접을 보러 가봐도 아직은 한국은 갈 길이 먼 것 같다.

한국에서 태어나 이 땅에서 아직까지 살아가고 있는 한국인으로서, 정말 이 땅의 노동 문화와 그 수준은 개선되어야 모두가 잘 살 수 있을 것 같다.

 

52개사 중에는 소니도, 샤프도, 파나소닉도, 도요타도 없다.

내가 알던 그 기업들은 지금 어떻게 버티고 있는 것일까.

책에 소개된 이 기업들은 정말 처음 들어보는 기업들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한 분야 한 업종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닌,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히 수익을 내며 버티고 있다는 것이다.

음료, 의류, 인터넷 서비스, 운송 등 다방면에서 그들이 한 몫을 단단히 하고 있었다.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변화된 환경에 빠르게 대처하는 창의적인 발상력으로 무장했으며, 안으로의 결속력을 굳건히 다지며, 신뢰받는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며, 차별화된 그들만의 전문성으로 돌진하며, 고객의 입장을 항상 생각하는 기업들이었기에 지금의 이 커다란 결과를 얻게 된 것이다.

참으로 간단하면서도 중요한 이 원칙을 내 인생에도 적용해 보리라.

 

<추신>

책 후반부에, 소개된 기업들에 대한 짧막한 기업 내력과 홈페이지가 소개되어 있다.

언어가 된다면 채용공고가 난 곳에 나도 지원해 보고 싶다.

참 참 참 언어 공부 열심히 해 둘걸.

요즘 책 읽을 때마다 여러모로 무너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