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당당한 결별
김용섭 지음 / 원더박스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당한 결별>은 경제경영 도서로 분류되어 있지만, 읽다보면 자기계발서적이 아닌가 하는 느낌이 많이 들었다.
개인적으로도 요즘 참 많은 걱정에 밤잠을 잘 못자는 실정이었는데, 이 책을 읽고 나니 더 심란해진 건 사실이다.
지금껏 해 왔던 내 생활의 관성으로부터 벗어나야 하는데, 그 관성을 깬다는 것이 참 쉽지가 않다.
단단한 용기와 결단력이 필요한 시기인 것 같다.
나의 현실에 불만을 가지고 불평해 봤자 돌아오는 결과는 내가 원한 결과가 아니라는 것을 잘 알면서도 그 불만족스런 생활에서 벗어나기 위해, 결단하고 행동하는 것이 쉽지 않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보이지 않는 미래의 시간들을 자꾸 보려고 한다.
그러다 보니 더욱 두려움만 커져 가고, 그로인해 현실이 자꾸만 불안해 보인다.
물리학에서의 시간은 현재, 즉 지금 이 순간만이 존재할 뿐, 과거와 미래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오늘에 충실하라는 말이 나왔다는 것을 알면서도 자꾸 미래를 쳐다볼려고 습관적으로 움직인다.
<당당한 결별>에서도 관성으로부터의 결별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내가 일하는 곳, 직업, 지금의 사회, 그리고 인간관계에서의 관성 등등 깨야 되는 관성이 넘 많다는 것이다.
읽다보면 공감가는 부분들이 참 많았다.
물론, 책에서도 직장을 예로 든다면, 모든 이가 무조건 사표를 던지고 나오라는 것이 아님을 밝혀두고 있다.
사표도 던질 준비가 된 사람은 과감하게 나와서 새로운 스타트업을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못한 사람은 지금의 직장에서 자신의 잠재력을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책을 읽다보면 돈과의 결별을 얘기하면서도 또다시 돈을 버는 방법을 얘기하는 것 같아 아이러니한 생각도 들지만, 현실이 자본에 의해 돌아가니 돈을 완전히 떼어놓고 얘기할 수는 없는게 사실이다.
단지 처음부터 돈을 목표로 달려드는 것보다 내가 할 수 있는 일 나의 열정을 쏟아 부을 수 있는 일을 하다보면 돈은 부수적으로 따라온다는 것이다.
늘 듣던 얘기, 결코 간과해서는 안되는 얘기지만, 항상 이 경계에서 무너지는 것 같다.
당장 월세도 내야 되고 각종 공과금, 상환할 대출금 및 생활비가 있어야 하니 나의 일을 계획하다가도 그 돈 때문에 핵심이 흐려져 계획이 무산됐던 적이 한두번이 아니었다.
 
책은 40대를 향해 얘기하지만, 30대부터 좀 더 유연성을 가질려면 20대부터 준비를 해야 하지 않나 생각된다.
개인적으로 주목하고 있는 단어는, 1인기업과 IT매체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젠 덕후가 뜨는 시대이다.
지금의 덕후는 단순히 자기 취미생활에 빠진 사람만을 얘기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그 분야에서는 누구 못지 않은 전문가이다.
그러한 취미생활로 인해 경제적 효과까지 얻고 있다.
소모성 취미생활이 생산성으로 바뀌는 시대가 된 것이다.
 
책의 내용에 공감하는 바가 있다면, 앞으로의 선택에 있어 이것이 과거의 관습과 관성에서 나온 것인지 미래를 위한 결단에서 나온 것인지를 회의하고 의심해보자는 문구가 참으로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오늘도 생각 많은 밤을 보낼 것 같다.
난 누군가 얘기했듯 그 배고픔을 끊을 방법을 모색하고 행동해야 한다.
머리 아프다 그리고 배고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