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는 쑥스러워 - 인사 습관 기르기 바른 습관 그림책 9
유준재 그림, 윤지연 글 / 시공주니어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와 엄마의 관계를 벗어나 친구를 알고 선생님을 알고 이웃어른들을 알아가면서 필수로 아이들이 해야하는 것중에 하나가

바로 인사하기 입니다.

그런데 가만히 보면 인사를 큰소리로 또박또박, 모르는 어른들에게도 하는 아이가 있는 반면에

아는 사람에게만 인사를 하는 아이, 알아도 인사를 잘 안하는 아이등 여러 형태들이 보입니다.

우리 아이는 대체로 첫번째 유형으로 인사를 잘 하는 아이에 속하는데요

제가 아는 이웃 아이는 인사를 골라서 하는 아이가 있답니다.

자기가 편하게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인사를 잘 하지만 불편한 사람에게는 얼굴을 알아도 인사를 하지 않는거예요,

또 어떤 아이는 아는분인데도 인사를 안하는 아이도 있구요,

그래서 이 책도 호기심을 갖고 보게 되었답니다.

 



 

쌍동이 오리형제 둥이와 댕이는 너무나 반대되는 성격을 가지고 있어요,

댕이는 파란 넥타이에 씩씩하고 인사도 잘 하는 아이구요

둥이는 빨간 넥타이에 부끄럼쟁이에 인사도 잘 못하는 아이예요,

인사를 잘 하고 못하고는 친구들 관계에서 바로 나타납니다.

친구들에게 인사를 잘 하는 댕이는 친구들이 너무 좋아합니다. 그래서 주위에 친구들이 많지요,

반면 둥이는 "안녕!" 하는 인사도 잘 못하니 친구들도 둥이에게는 인사를 잘 안하게 되네요,

어깨를 부딪힌 뒤에도 미안하다는 사과를 하기가 쑥스러운 둥이는 친구에게 핀잔을 듣게 되지요,

그러다 이 두 쌍둥이가 역할을 바꾸기로 합니다.

처음엔 너무 어색했지만 인사를 잘 하다보니 친구들의 반응이 좋아 둥이가 기분이 좋아집니다.

매번 화를 내던 친구들도 둥이가 먼저 인사하고 사과하니 화도 안내고 웃어주기까지 하는거예요,

그러면서 점점 댕이처럼 행동을 하는 둥이는 자신감이 생기고 결국 인사를 잘 하게 됩니다. 

 

 



 

극과 극의 비교체험을 보면서 아이들은 인사를 잘 안하면 이럴 수 있다는 간접체험을 해보게 됩니다.

특히 놀이를 하면서의 상황설정은 아이들이 이해하기 너무 좋은 설정인것 같아요,

가만히 들여다보면 둥이가 나오는 장면의 배경들은 조금 어둡습니다.

그래서 둥이가 많이 불편해하고 힘들어한다는것을 암시적으로 보여주고 있지요,

이런 배경이 주는 메세지도 분명한것 같습니다.

인사를 잘 하지 않으면 마음도 무겁고 보는 사람도 마음이 무겁고 행복하지 않다는 메세지를요,

친구들 사이에서 혼자 왕따를 당하는 두려웅은 아이들에게 엄청 큰 두려움에 속한답니다.

그런 모습들을 보여주면서 인사에 대한 중요성을 알려주고 있어요,

인사는 "안녕!"이라고 이야기하는 인사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른 적절한 의사표현으로 조금 포괄적인 개념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고마워!"

"미안해"

"괜찮아"

"먼저 해"

등등 타인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이야기하면 좋은 표현들을 쑥스럽다고 안하는것보다 용기를 내어 하는것이

더 좋다는 이야기를 해주고 있어서

어찌보면 자신감 없는 아이들에게 자신감도 심어주고 활기차게  신나게 친구들과 놀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기도 합니다.

 

인사는 아이들에게 있어 편한 상호작용의 첫 시작입니다.

그래서 이영애교수님은 인사를 너무 억지로 시키기 보다는 아이가 상대방과 편해진 후에 자발적으로 하게끔 유도하는것이

좋다고 하십니다. 

인사를 안 하는 아이에게 억지로 하도록 강요하는것보다는

칭찬이나 다른 대화거리로 아이와 관계를 형성한 후 인사를 안하는 마음을 읽어주고 잘 할 수 있을거라는 기대감을 심어주라고 하십니다.

 

인성교육에서는  강요라는 단어를 무지 싫어하는데요

인성 뿐만이 아니라 우리 생활에서

해야만 하는것이라고 강요하는 이 습관을 우리도 버려야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양치하는것

텔레비전보는것

인사하는것

모두 해야만 하는것이지만 억지로 시키기보다는 다른 방법을 활용하여 유도하는것이 올바른 방법임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이 바른습관 그림책을 본 이후로 꼭 잊지 말아야 할것 같아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