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갤러리 한 장으로 보는 지식 계보도 2
김영범 지음 / 풀로엮은집(숨비소리)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의 전체적인 편집과 디자인이 깔끔하고 삽화들도 올망 졸망 예쁘다. 별책 부록을 통해 한 눈에 철학의 계보를 살펴 볼 수 있어 좋았고, 책 역시 구석 구석 세심하게 디자인되어 있어 철학책이라기 보다는 여성 패션 잡지의 느낌이 들 정도로 산뜻하다. 그렇다고 내용 까지 잡지책 읽듯 술술 읽고 이해되는 것은 아니다. 어느 부분에서는 분명 이해의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철학책 치고는 쉽고 재미 있게 잘 엮어 있다. 철학가들의 얼굴이 각 페이지 하단 부분에 동그랗게 박혀 있어서 얼굴을 떠올리며 읽을 수 있어 친근한 느낌도 들었고, 상상력도 더욱 자극이 되었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 텔레스에 이르는 철학의 대가들이 주고 받은 상호 영향력에서 부터, 시대별 철학의 발달사를 한 분에 꿰뚫어 볼 수 있도록 잘 짜여져 있어, 어려운 철학사를 담고 있는 책이지만, 포기 하지 않고 끝 까지 읽을 수 있었다. 책 속에 소개된 주요 철학가들의 사진들을 보니, 내가 생각했던 것과 전혀 다른 이미지의 생김새를 가진 분들도 많아, 이 역시 책을 읽는 큰 재미 중 하나 였다. 분명 로크나 아리스토 텔레스, 플라톤, 소크라테스는 유명한 사람들 임에도 불구하고, 그 유명새에 비해 얼굴이나 생김새를 쉽게 떠올릴 수 없었는데, 이 책을 통해 이제는 어느 정도 유명한 철학가들의 모습을 떠올릴 수 있게 되었다.  

진로를 한창 고민 하던 고등학교 시절, 무턱대고 철학과를 지망하기도 했던 나였지만, 대학 교양 철학 수업 시간 이후로 철학과를 선택하지 않았던 것에 내심 안도했던 순간도 있었다. 막상 철학을 공부 하려면, 제일 먼저 철학의 계보와 역사를 꿰뚫고, 각 인물들의 주장과 상충되는 의견들을 이해하는 것이 제일 우선이 되었는데, 내 주변의 보통 사람들의 생각 조차 이해하기 어려울 때가 많은데, 사고의 고차원격인 철학가들의 말을 이해한다는 것은 만만한 일이 아님을 느꼈기 때문이다. 또한 철학을 전공 하면 졸업 후 밥벌어 먹기 힘들다는 인식이 그 때도 지금 처럼 보편적이었다. 더욱이 철학이라는 단어에 늘상 단짝 처럼 따라 붙는 "개똥"이라는 두 글자는  철학의 중후한 이미지에 묘한 경박함을 더하면서 철학의 실질적 유용성에 대한 의심을 품게 한다. "철학이 과연 밥먹고 사는데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철학에 대해 나는 이와 같은 수준의 생각에서 오래도록  머물러 있었다. 

하지만, 책의 본문에 제일 먼저 등장하는 탈레스의 일화를 통해 내가 그동안 철학에 대해 많은 오해를 하고 있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전했다는 가장 유명한 탈레스의 일화는 매우 신선한 충격을 주었기 때문이다. 철학은 아무 쓸모가 없고, 가난하다는 이유로 당대 사람들이 비난을 하자, 탈레스는 비수기에 올리브 짜는 기계를 헐값에 임대를 했다고 한다. 사람들은 또 다시 올리브가 나지 않는 계절에 기계를 임대하는 탈레스를 비난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탈레스는 비난을 묵묵히 감수한다. 마침내 계절이 바뀌어 올리브를 수확하는 시기에 올리브가 대풍년이 들었고, 덩달아 올리브 짜는 기계의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탈레스는 떼돈을 벌게 되었다고 한다. 철학이란 결코 실생활과 무관한 무용지물이 아니라는 점을 단박에 깨우쳐 주는 일화였다. 

특히나 내가 좋아 하는 명언가(?) 중 한 사람은 쇼펜 하우어 였는데, 정작 그가 근대 철학사에서 어떠한 주장을 했고, 어떠한 사상을 펼쳤었는지, 그리고 그의 사상이 니체나 프로이트, 토마스 만에게 까지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을 잘 알지도 못한 체, 이국적인 이름이 주는 고상함만 찬탄했던 것 같다. 그래서 쇼펜 하우어가 철학가 라기 보다는 그저 명언집에 가주 등장하는 명언가 내지는 [세상을 보는 지혜]라는 책과 연관지어 서양의 공자나 맹자 정도로 인식하던 나에게, 이 책은 서양 철학의 기본 지식을 확실히 다져 주는 고마운 책 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