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지리를 만나다 - 생활 속 지리 여행
이경한 지음 / 푸른길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는 영화관, 병원, 강의실, 아파트, 백화점, 재래시장, 터미널 등등 우리가 생활 속에서 흔히 접하게되는 일상적인 장소들이 등장한다. 어찌보면 너무도 일상적인 장소들 이어서, 지리학이라는 학문과 쉽게 연관짓기 어려운 느낌이 들기도 한다.

 

따지고 보면 지리학이라는 것은, 인간의 생활 터전 그 자체에서 비롯되었지만, 이 책을 읽기 전에는 왠지 모르게 "지리"라는 단어는, 일상 "생활"이라는 단어와는 거리감이 있어 보이고 낯설기만 하였다. 아무래도 중/고교 교과 과정 중 세계지리나, 한국지리 등의 교과과목의 수업 방식의 영향력이 큰 듯 하다. 지리부도를 펼쳐 놓고, 이런 저런 지형들이 복잡하게 그려져 있는 지도들을 읽는 것은, 나에게는 큰 곤혹이었다. [말을 듣지 않는 남자, 지도를 읽지 못하는 여자]라는 제목의 책을 보고는, '이건 딱 내 얘기네'하고 생각했었다. 이런 내게 지도를 암기하는 것은 특히 괴롭기 짝이 없는 일 이었다. 자연 스럽고, 차근 차근하게, 지리적 특성과 변화의 인과관계를 다양한 사진이나 시각 자료 등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보다, 텍스트 기반의 단순 암기 위주의 주입식 교육을 통해 지리를 배우고, 가르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 아닌가 싶었다. 그래서 인지, 애석하게도 중/고교 지리 교육은 내게 큰 도움이 못되었던 것 같다. 머리는 물론 가슴에도 크게 남아 있는 내용이 거의 없다. 솔직히 학창 시절의 나에게있어 지리라는 과목은 언제나 "지리 지리"할 뿐이었다.

 

'지리 공부 못하고, 지도 잘 못 읽어도, 길만 잘 찾으면 되지'라고 위안 삼는 나는 솔직히 길치에 가깝다. 이런 내게 네비게이션의 등장이 얼마나 반가웠는지 모른다. 하지만, 저자의 책 속 지적대로 네비게이션 덕에 나는 더 심각한 길치가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네비게이션 없이는 집을 나설 엄두가 나지 않으니 말이다. 저자는 이 처럼 소소한 일상의 것들은 소재 삼아 쉽게 이야기를 시작 한다. 그래서 인지 나는 이 책을 통해 지리라는 단어에 대해 예전과 달리 쉽고 친숙한 느낌을 새롭게 가지게 되었다.

 

지리학 전공자인 저자는 자신의 일상적인 생활을 마치 블로그에 옮겨 적어 놓 듯, 저자 개인의 아주 소소한 일상 생활의 에피소드를 통해 모든 이야기들을 열어 간다. 특히 저자가 거주하고 있는 전라도 전주 지역의 여러 장소들이 많이 소개 되어 있다. 모든 것이 '서울 중심적인 상황'에만 익숙해있던 내게, 저자의 이와 같은 접근방식은 매우 신선하게 느껴졌다. 아이러니하게도 전주라는 곳이 저자에게는 매우 일상적인 장소일지 모르지만, 내게는 매우 낯설고 새로운 장소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화점이나 영화관 처럼 지리적 위치는 다양하지만, 그 기능적인 역할은 동일한 장소들이 소재가 되었기 때문에 지방중심(?)적인 저자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내용들이었다.

 

저자의 의도 대로 이 책은, 우리 가까이서 흔하게 보던 친숙한 지리적 현상들을 낯설게 바라보고, 낯선 지리적 현상들을 친숙하게 바라봄으로써, 우리 삶을 좀 더 풍요롭게 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것은 어디 있는가?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가? 원인은 무엇인가? 어떤 과정으로 형성 되었는가? 우리의 삶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그것을 어떻게 유지하고 발전시켜야 하는가?" 하는 지리적 현상들에 대한 저자의 물음과 답변들을 통해 나는 예전에는 미처 눈으로 바라 보면서도 마음과 머리로는 볼 수 없었던 많은 것들을 새롭게 볼 수 있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